“민간소각장 평균 처리비 1t당 14만5000원…공공과 유사한 수준”
[미디어펜=조태민 기자]내년 1월 1일 시행을 앞둔 수도권매립지 가연성 폐기물 직매립금지 논의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환경단체와 일부 언론과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언론은 민간소각장 이용 비용이 공공시설 대비 2배 비싸다고 주장한다. 반면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공제조합)은 실제 처리단가가 공공시설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반박했다.

   
▲ 생활폐기물 민간 위탁 처리 단가 현황./사진=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19일 공제조합은 민간소각장 처리비용이 1t당 26만6000원으로, 공공시설의 1.5~2배라는 주장에 대해 “일부 언론의 보도 내용과 현장의 실제 데이터가 다르다”며 “민간 단가는 공공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고, 소각재 처리비를 제외하면 오히려 더 낮게 나타난다”고 반박했다. 

공제조합은 “나라장터 입찰정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기준 수도권 각 지자체에서 발주한 생활폐기물 민간소각장 평균 처리비는 1t당 14만5000원으로 공공소각시설 수준(12만~16만 원)과 유사하다”며 “소각재 처리비를 제외하면 실제 비용은 약 10만8000원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실제로 수도권 생활폐기물 민간 위탁 처리단가 현황에 따르면 서울 영등포구는 13만4400원, 동작구 13만9930원 성동구 15만2456원, 경기 화성시 13만6920원, 광명시 14만7268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공제조합은 이어 “지자체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처리비 인상폭 제한, 중장기 계약 확대 등 제도적 장치 마련 제안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왔다”며 “그 결과 서울시 주요 지자체와 장기계약을 다수 체결했고, 인천 서구와는 협의 기반의 비용 결정 방식까지 도입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반입단가와 비교해 볼 때, 매립단가는 1t당 11만6000원이지만, 반입총량제에 따라 할당량의 25% 이상을 초과하는 물량은 1t당 약 15만 원에 처리하고 있다”며 “이 같은 결과를 봤을 때 민간소각장 평균 처리비는 지자체의 실질적인 부담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비용”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