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한 중간 조사결과 성격의 공청회를 내달 4∼5일 열기로 하면서 유가족 측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사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절차를 밀어붙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9일 항철위에 따르면 공청회는 서울 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이틀간 진행되며, 사고 조사 12단계 중 사실관계 점검과 기술 분석이 이뤄지는 8단계 절차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파악된 조사내용을 공개하고 조류·방위각시설·기체·운항 등 분야별로 기술적 검증을 받는 자리다.
첫째 날인 4일에는 조류 충돌 가능성 및 방위각시설 관련 쟁점이, 다음 날에는 기체(엔진)와 운항 정보를 중심으로 한 세션이 이어진다. 조사관 설명 후 전문가·관계자 질의응답 방식으로 구성되며, 비행기록장치(FDR),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등 핵심 자료도 일부 공개될 예정이다. 하지만 유가족단체는 조사와 절차 모두에 신뢰를 갖기 어렵다며 강경하게 반대하고 있다.
| |
 |
|
|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6일째인 지난 1월 13일 오전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소방 대원들이 기체에 덮인 방수포를 걷어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의회는 입장문을 통해 "항철위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조사의 중립성을 기대할 수 없고, 이는 조사가 진행되는 내내 유가족들에게 깊은 불신감의 근원이 됐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공청회는 이해 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사전에 듣는 제도로서 충분한 정보가 공개되고 참석자들이 의견을 준비할 합리적인 기회가 보장되어야만 그 취지를 달성할 수 있다"며 "그러나 항철위는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으면서 형식적인 공청회를 강행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공청회 강행은 부실하고 편향된 조사 결과에 대해 면죄부를 얻기 위한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며 "항철위가 국토부에서 독립해 투명하고 공정한 조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공청회, 중간보고 등 일체의 조사 활동을 즉시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