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배추·무 등 채소들의 가격이 추석 전 요동치면서 그간 문제시됐던 유통과정의 복잡함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추석을 앞둔 11일 수요가 급등한데다 여름을 강타했던 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이 맞물려 채솟값이 크게 오르고 있다.
특히 배추는 포기당 1만원을 호가할 정도다.
그러나 산지 거래가는 1000원 선에 그치면서 복잡한 유통과정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배추는 대부분 강원도 등에서 재배된 고랭지 여름 배추다.
배추 농가 상당수는 계약재배 형태로 산지 유통인과 거래해 수확량과 관계없이 3.3㎡당 일정 금액을 받기로 계약한다. 작황 부진에 대한 위험은 산지 유통인이 책임진다.
강원도 태백 지역 농가들에 따르면 올해는 보통 3.3㎡당 9000원 선에서 계약이 이뤄졌으며 이는 1포기당 1000원대인 셈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공시된 지난 9일 기준 상품 배추(1㎏)의 평균 도매가격은 2140원인 반면 평균 소매가격은 8128원이다. 도매가의 4배 수준이다.
실제 시장에서는 배추 상태에 따라 최고 1만3천원까지 거래된다. 산지와 비교하면 8배에서 13배나 비싸다.
산지 유통인은 농민에게 배추를 사들인 뒤 도매시장에서 상·하차비, 경락가 차액 등을 따져 마진을 붙인다. 이어 중도매인과 유통점·소매상·소매점을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 가격이 오르며 시세가 좋을 경우 과거 손해에 대한 보상심리로 마진율이 더 높아진다.
무는 계약 시 3.3㎡당 1만원 선이다. 20㎏(평균 15개)의 도매가는 상품 기준 2만2200원, 소매가는 개당 2914원(15개 4만3710원 꼴)이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복잡하고 전근대적인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되지 않는 한 불안정한 농산물 가격이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밖에 없다"며 "유통단계를 축소하거나 직거래를 확대하는 등의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