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 기자] 최근 가계대출 상황을 보면 저소득층이 높은 이자를 감당하고서라도 빌리는 ‘생계형 대출’의 유형이 두드러져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조6920억원으로 전월보다 5924억원 늘었다.
월간 증가액은 6월(2349억원)의 2.5배 수준으로 확대됐으며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역대 최대치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올들어 1∼7월 동안 2조9984억원 늘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한 증가율은 21.9%로,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8.5%를 훨씬 웃돈다.
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경우 서울 쏠림 현상이 두드러져 전체의 61.8%를 차지했으며 올해 증가액 중 전체의 74.4%나 됐다.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의 ‘생계형’ 대출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지난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이다. 이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생계형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는 조짐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신용대출이나 2금융권 대출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커진 것이다.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