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도부, 우발적 충돌 우려해 군에 선보고 후조치 지시한 것으로 파악"
[미디어펜=정광성 기자]국정원은 26일 최근 미국 전략폭격기 B-1B랜서가 북한 동해 국제공영에서 무력시위를 벌였던 당시 북한은 아무런 대응 조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미(美) 전략폭격기 북한 비행관련 정보위 간담회'자리에서 국정원이 이같이 밝혔다고 국회 정보위원장인 이철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미국 B-1B 출격 이후 비행기를 이동시키고 동해안 쪽으로 강화하는 후발 조치가 있었으나 당장 그날에는 아무런 조치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며 "북한 레이더에 잡혔는지 모르지만 자정 무렵에 들어가서 전혀 예상을 못한 것 같다"고 전했다.

특히 "북한이 DMZ(비무장지대), 휴전선 부근에서 강하게 선보고 후조치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안다"며 "선조치하면 우발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니 상당히 조심하면서 선보고 후조치하라고 한 듯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정보위 소속 이완영 자유한국당 의원은 "10월 미사일 발사에 대해 언론이 우려하고 있어 물어보니 '아직 정확한 것은 보고할 수 없다' '어느 정도인지, 몇천 km 인지 알 수 없으나 상당히 경계하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공군의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북한 동해의 국제공역을 비행하는 '무력시위'를 펼쳤다.

미 국방성은 여러 대의 B-1B 랜서가 이날 F-15 전투기들의 호위를 받으며 북한 동해의 국제공역을 비행했다고 발표했다. B-1B 랜서 폭격기는 미국령 괌에 있는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F-15 전투기는 일본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에서 각각 발진했다.

   
▲ 미 국방부는 23일(현지시간) 여러 대의 B-1B 랜서가 F-15 전투기들의 호위하에 북한 동해의 국제공역을 비행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미군 장거리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2016년 9월13일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 상공을 비행하는 모습이다./사진=미 국방성 홈페이지

[미디어펜=정광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