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정광성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불참한 가운데 여야 4당 대표와 만찬을 겸한 회동을 갖는다.
이번 회동은 문 대통령 취임 후 여야 지도부와 만나는 것은 지난 5월 5당 원내대표, 7월 19일 여야 4당 대표와의 만남 이후 세 번째다. 자유한국당은 지난 7월에 이어 여야 당대표 회동에 모두 불참했다.
특히 이날 회동이 만찬으로 결정된 가장 큰 이유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방 일정을 이유로 만찬만 가능하다는 뜻을 전했기 때문으로 알려진다.
아울러 문 대통령과 안 대표의 만남은 이날 회동의 포인트로 꼽힌다. 지난 2012·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라이벌로 치열하게 맞붙었던 두 사람은 이날 대선 이후 처음으로 얼굴을 맞댄다.
이번 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 회동의 주제는 계속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북·미간 말 폭탄 대치로 한반도의 긴장감이 고조된 만큼 '안보'가 중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안 대표는 문 대통령에게 국제공조와 한미동맹 강화를 비롯해 외교·안보라인 교체, 대북지원 중단 등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
 |
|
▲ 문재인 대통령(가운데)이 지난 7월19일 오전 청와대에 여야 4당 대표를 초청해 정상외교 성과 설명회 겸 오찬 회동을 가졌다. (왼쪽부터)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회동에 참석해 문 대통령과 대화하는 모습./사진=청와대 제공 |
특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진보야당에 속하는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대북 특사 파견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 대표는 전날(26일) 기자들과 만나 "정기국회 당대표 연설 때 북한과 미국, 양쪽에 동시특사를 파견하자고 이야기했었다"며 "이런 것이 오히려 한반도 위기가 고조됐을 때 필요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과 추 대표는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구성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 사태, 김명수 임명동의안을 어렵사리 통과시키면서 여소야대 정국 속 '협치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다.
이와 함께 추석 연후 이후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여야 협치를 강조하면서 국회에 산재되어 있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법안 통과를 요청할 예정이다.
민주당 한 의원은 이날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오늘 여러 가지 문제를 논의할 것 같다"면서 "가장 중요한 안보 현안도 있지만, '여·야·정 국정상성협의체' 구성과 문재인 정부의 100대 과제에 포함되어 있는 법안 통과 문제도 심도있는 논의가 오갈 것 같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정광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