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정광성 기자]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 만찬회동에 대해 안보 문제와 여야정 합의체 구성과 관련해 청와대와 입장 차로 인해 합의가 불발됐다며 불편함을 드러냈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해 단호하고 강력히 규탄하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같은 생각이었다"면서도 "의견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여러 곳에서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관계를 새롭게 구축하고 회복하는 것이 필요한 상태라고 생각한다"며 "한미동맹 신뢰관계가 위협받는 상황에 대한 인식을 물어봤지만, 문 대통령이나 정부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고,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단단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는 "저 나름대로 믿을 만한 정보 소스로부터 확인한 이야기이니 문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짚어보시라고 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인식차가 크다는 것을 느꼈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한중 관계와 관련해 "저는 오는 10월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이 만료인데, 이게 무리없이 연장이 될지가 한중관계 복원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잘 풀릴 것으로 본다'며 낙관적으로 답을 했다"며 "한중관계가 정부 생각처럼 잘 풀릴지 아닐지는 스와프 연장이 될지가 판단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북핵 대응을 위한 자신의 제안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미군의 전략자산 순환배치 정도로는 국민이 안심할 수 없다. 전술핵 도입도 실제 실행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면서 "저는 미국의 확장억제 의지를 구체화하고 명문화하는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이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식의 핵공유 협정이 아니라, 훨씬 넓은 범위에 유연한 형태로 미국의 확장억제 의지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며 "문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차원의 주장에 이견이 없다는 정도의 의견을 받았고"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타당 대표도 찬성한 데다 전병헌 정무수석이 합의를 유도했는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혼자 강력하게 반대해서 (합의문에) 담기지 못했다. 왜 그랬는지 잘 모르겠다"며 추 대표를 향한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특히 안 대표는 여야정 협의체 구성과 관련해서도 청와대와의 견해차를 부각했다.
그는 "합의문안을 보면 구체적인 부분이 빠져있다. 그 이유는 결국 청와대가 중심이 돼서 협의체를 만드는 데 대한 반대가 많아서 합의하지 못하고 다시 국회로 돌려보낸 것"이라면서 "이는 원론적인 수준으로, 벌써 예전에 합의돼 국회에서 논의하기로 한 부분을 다시 해보자는 정도의 차원"이라고 인색한 평가를 했다.
이어 "국회에서 협의체가 마련되면 그에 따라 외교안보 쪽에 대통령이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이지, 국회에서 만들어지지 않으면 새롭게 진도가 나가기는 어렵다"고 꼬집었다.
|
 |
|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 만찬회동에 대해 안보 문제와 여야정 합의체 구성과 관련해 청와대와 입장 차로 인해 합의가 불발됐다며 불편함을 드러냈다./사진=연합뉴스 |
[미디어펜=정광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