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정광성 기자]민주당은 8일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수상 취소를 위해 청원서를 보내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치졸한 정치보복"이라고 비판했다.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현안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잘못을 뉘우치고 국민에게 속고대죄해야 마땅하다"며 "이명박 정권 국정원에 의한 김 전 대통령의 노벨상 취소 청원이야말로 정치 보복의 화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와 관련해 9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보수 단체와 손잡고 김 전 대통령의 노벨상 취소 청원을 공작하려 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철저한 진상 조사와 책임자 처벌로 국가 기강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이명박 정부 때 국가정보원이 한 단체를 내세워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 취소 청원을 계획한 단서를 포착해 수사중이라고 8일 밝혔다.

검찰은 국정원 심리전단 소속의 직원 A씨와 단체 간부 B씨가 주고받은 이메일을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수상을 취소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은 '치졸한 정치보복'이라고 비판했다./사진=미디어펜


해당 단체는 앞서 2010년 3월 김 전 대통령 정신을 계승한다는 사단법인 '행동하는 양심'이 출범하자 "김 전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을 받기 위해 부정한 공작과 거래를 자행했다는 의혹을 받는 사람"이라는 내용의 논평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단체는 아울러 김 전 대통령 서거 후 "고인은 민주화와 외환위기 극복에 일정 공로가 있었지만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며 "반헌법적 6·15 공동선언을 통해 대한민국 정체성을 훼손하고 김정일 독재정권의 수명을 연장시킨 점은 후일 역사가 정당하게 평가할 것"이라는 논평을 내기도 했다. 

검찰은 2009년 8월 당시 김 전 대통령 추모 열기가 형성되면서 정부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국정원이 대응 방안으로 심리전을 진행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당시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노벨평화상 수상을 비판하는 합성사진 포스터가 유통된 데도 심리전단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미디어펜=정광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