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국내 제조업의 올해 실적은 '플러스'로 반등했지만 다른 업종의 실적은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2017년 1∼3분기 누적 제조업 상장사 실적'을 발표, "상장사 전체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대비 두 자리 수 증가했다"며 "3년에 걸친 매출 역성장에서 벗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업종을 제외하면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율은 한 자리수로 떨어진다"며 "일부 업종의 편중 효과가 심해진 한편 우리 경제의 또 다른 축인 조선과 자동차 업종은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투자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올해 1∼3분기 제조업 상장사 전체 매출액(603조5000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11.2%(542조7000억원) 증가했다. 2014년 이후 3년 동안 지속된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난 수치다. 영업이익 증가율도 77.8%를 기록하며 수익성 역시 개선됐다.
다만 이 같은 결과를 낙관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주요 업종별 분석 결과, 전기전자와 화학업종이 제조업 호실적을 견인했기 때문이다.
전기전자의 경우 반도체 호황 등으로 1~3분기 누적 매출액이 21.5%, 영업이익이 243.8% 증가하면서 전체 제조업 상장사 매출액의 35.6%,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57.0%)을 차지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의 매출 비중 32.6%, 영업이익 비중 29.5%보다 더 높아졌다. 두 자리 수 증가율을 기록한 전체 제조업 실적도 전기전자업종을 제외하면 한자리 수(매출액 11.2% → 6.2%, 영업이익 77.8% → 8.4%)로 줄며 편중 효과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선과 자동차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실적이 부진했다. 조선업은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흑자였으나, 2016년 수주 절벽이 향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매출액이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0.4% 감소했다. 특히 국내 완성차 기업의 주력 생산기지인 미국과 중국에서 주요 기업의 해외생산 및 판매가 감소했다.
보호무역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완성차 실적 부진은 부품 수출 감소로도 이어졌다. 이에 올해 3분기까지 주요 완성차 및 부품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32.2%, 27.5% 급감했다.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올해 1∼3분기 실적이 반등했지만, 일부 업종 편중 효과가 컸다"며 "기존 주력 산업의 회복 및 성장을 위한 펀더멘탈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