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확정적으로 말씀 드릴 순 없지만 (앞으로) 삼성그룹 회장이라는 타이틀은 없을 것이다. 이건희 회장이 마지막일 것이라고 저 혼자 생각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27일 항소심 공판에 피고인 자격으로 참석, “삼성그룹 회장이 될 가능성이 큰 것 아니냐”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이 부회장의 해당 발언은 지속적으로 회자 되며 ‘삼성그룹’ 형태의 부활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과거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의 활약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삼성그룹이 가지고 있는 강점이 사라졌다고 분석, 어떤 식으로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지난해 2월 28일 미래전략실 해체를 결정했다. 최서원 국정농단 사태로 미전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커진데다, 이 부회장이 2016년 12월 국회 청문회에서 미전실 해체를 약속한 데 따른 결정이었다. 그후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삼성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했던 미전실 해체의 후폭풍은 상당했다. 미전실 직원들은 거취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짐부터 싸야 했고, 미전실을 이끌었던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은 물론 7개 팀장들 모두 직책을 내려놓아야 했다.
무엇보다 삼성의 ‘미래’가 유보됐다는 점이 가장 큰 타격이었다. 지난 1년간 각 계열사가 자율경영 체제에 잘 적응했다곤 하지만, 삼성 특유의 일사불란함이 사라졌고 조직 기강이 느슨해졌다는 평가다. 일부 계열사의 인사가 늦어진 점도 ‘컨트롤타워’ 부재를 떠올리게 했다.
|
|
|
▲ 삼성 로고./사진=연합뉴스 |
또 눈앞의 현안만 해결하고 있을 뿐 ‘큰 그림’이 없다는 것도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현재 전자, 비전자, 금융계열의 TF가 각각 구축된 상태지만 이를 아우를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미전실이 미래를 내다보고 전략을 세우면, 각 계열사가 사업을 전개해 나가며 효율성을 높였다”며 “하지만 컨트롤타워가 없는 지금은 단기적인 현안 해결은 가능 하지만 과거처럼 큰 그림을 내다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계열사 별 TF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점을 인지하고 있어도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정적인 여론도 난항이고, 무엇보다 이 같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정치권이 기업 경영 방침에 왈가왈부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지난 국정농단 사태로 국회의 압박에 시달려 미래전략실 해체를 감행한 것이 당시에는 최선이었을지 몰라도 결과적으론 아니었다는 진단이다.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미래전략실을 폐지한 것은 잘못된 선택이었다”며 “그룹의 가장 큰 장점은 계열사 간에 서로 도와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인데, 그렇게 되려면 계열사를 통합하는 기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래전략실은 정치적 소용돌이로 느닷없이 해체된 것일 뿐 미전실 자체가 잘못한 것은 없다”며 “미래전략실이 있었기 때문에 삼성 그룹이 지금의 역사를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