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영민 기자]정부가 최근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1호'의 추락을 계기로 우주쓰레기를 감시·제거하기 위한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우주위험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산·학·연 관계 전문가 회의를 11일 한국연구재단 서울사무소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인공위성·우주정거장 등 인공 우주 물체의 추락을 감시하고 예측하는 기술, 우주 쓰레기와의 충돌을 감시하는 기술, 우주쓰레기 경감 및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능동적으로 우주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 등에 대해 전문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동향 및 우리의 기술개발 역량과 여건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톈궁 1호 추락의 경우 우리나라의 우주위험 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은 최종 추락 약 6시간 전에 매우 정확한 추락 예측치를 분석해 제공했다. 최종 추락 시각이 예측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 미국(합동우주작전본부), 유럽(ESA), 일본(JAXA), 러시아(ROSCOSMOS) 등 해외 주요국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해냈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주쓰레기의 추락·충돌을 효과적으로 감시·예측하기 위한 우주 감시 레이더시스템 구축 방안과 우주쓰레기 증가를 줄이기 위한 '청소형 위성' 개발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우주 감시 레이더시스템은 한반도 상공을 24시간 관측하는 레이더를 이용, 대형 우주쓰레기의 정확한 추락궤도 감시를 통해 추락 시각·지점 예측의 정확도를 제고하며, 우리나라 위성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 우주쓰레기를 정밀 감시해 안정적으로 위성을 운용할 수 있다.
청소형 위성의 경우 우주그물, 로봇팔, 전자기밧줄 등을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포획하거나 대형 우주쓰레기의 경우 소형 위성과 도킹해 통제 가능한 상태에서 지구 대기권에서 소각시키는 방안 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주위험 대응 방안을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향후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우주위험은 기술개발을 통해 예측과 회피가 가능한 위험"이라며 "보다 안정적인 위성 운용과 더 나아가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우주위험 대응 기술개발 및 기술력 확보 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