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들어간 교통호재 수혜단지, 매매가 상승∙거래량 증가·청약경쟁률 높아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잇따른 규제로 집값 하락론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첫 삽을 뜬 교통호재 주변 단지가 내 집 마련 수요자들에게 각광 받고 있다.

지하철 개통 등 교통개발사업의 경우 집값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호재로 꼽히지만 착공 전 사업이 연기되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착공 후 안정적으로 투자하려는 수요자들도 늘고 있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 결과, 지난 2016년 1월 개통한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인근 ‘광교 자연앤힐스테이트’ 84㎡(이하 전용면적)의 경우 지난 3월 9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신분당선 정자~광교 구간(13.8km)이 착공에 들어간 2011년 2월 같은 면적의 분양권이 4억3470만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착공 이후 집값이 2배 이상 상승한 셈이다.

착공 후에는 매매거래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9월 개통한 복선전철 경강선 성남~여주(약 57km) 구간의 수혜지역인 경기도 광주시의 경우 경기광주역을 통해 강남역까지 30분대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거래량이 늘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경강선 착공 시점인 2009년 광주시 아파트 거래량은 2401건으로 2008년 1525건 대비 57% 증가했고, 개통시점인 2016년에는 6220건이 거래돼 2015년 4028건 대비 54% 증가했다.

교통호재 수혜지역의 경우 ‘계획발표 시’ ‘착공 시’ ‘개통 시’ 집값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이른 바 ‘3승(昇) 법칙’이다. 계획발표 단계에 투자하면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계획발표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착공에 이르기까지 길게는 몇 년의 시간이 소요되고, 개발계획이 수립되거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후에도 착공이 연기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신분당선 연장선 광교~호매실 구간(11.1km)의 경우 당초 2022년 개통예정으로 지난 2006년 기본계획이 수립됐지만 타당성 검사에서 점수가 낮아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노선 및 정거장 등 시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며 지난해 9월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사업 재기획 용역’ 긴급입찰 공고를 내고, 12월 용역계약을 맺었다. 사업 재개 가능성이 있지만 2022년 개통은 사실상 무산된 셈이다.

   
▲ 주택시장을 향한 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착공에 들어간 교통호재 수혜 단지들이 주목 받고 있다. 사진은 2015년 12월 착공, 2023년 9월 개통예정인 별내선 복선전철 노선도/자료=국토교통부


이 같은 이유로 착공에 들어간 교통호재 수혜단지들의 경우 수요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2015년 12월 착공해 2023년 9월 개통예정인 지하철 8호선 별내연장선 수혜단지로 주목받은 ‘e편한세상 인창 어반포레’의 경우 지난 4월 청약접수를 진행해 평균 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주택형이 1순위 당해 지역에서 마감됐다.

또 오는 6월 현대건설이 선보이는 별내역 역세권 생활숙박시설 ‘힐스테이트 별내 스테이원’도 벌써부터 주목 받고 있다. 단지는 최고 46층, 3개 동, 578실(66~134㎡) 규모다.

광교신도시 A공인중개사사무소 한 관계자는 “교통호재가 있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투자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라며 “착공이 미뤄지는 경우가 많고, 사업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어 착공에 들어간 수혜단지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