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영민 기자]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의 본격 추진을 위한 큰 그림이 완성됐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서울 상암 DMC첨단산업센터에서 시범도시 마스터플래너, 유관부처 및 지자체, 사업시행자와 함께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국가 시범도시는 백지상태의 부지에 4차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자유롭게 실증·접목하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구현되는 혁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정부가 혁신성장 사업 중 하나로 중점 추진 중이다.
이날 발표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에서는 세종 5-1 생활권, 부산 에코델타시티 2곳에 대한 추진 계획이 마련됐다.
먼저 세종 5-1 생활권은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가 비전으로 제시됐다.
또 우리나라 도시 및 세종시 고유의 문제점을 면밀하게 분석해 시민 행복을 위한 7대 혁신 서비스가 도출됐으며, 이 중에서도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등 4대 핵심요소가 별도로 강조됐다.
이는 세종 5-1 생활권에서 그동안 제시된 교통·에너지 컨셉 이외에도 세종시에 부족한 헬스케어 및 교육 서비스와 관련된 신기술과 서비스를 접목함으로써 시민 행복에 한걸음 더 다가가겠다는 정재승 마스터플래너의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
|
|
▲ 제공=4차산업혁명위원회 |
세종 5-1 생활권의 경우 도시 공간구조와 관련해서도 혁신적인 제안을 기본구상에 담았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도시 공간체계로서 기존과 같은 용도지역에 기반한 도시계획에서 탈피해 도시 전체를 리빙·소셜·퍼블릭으로만 구분하는 ‘용도지역 없는 도시(용도혼합 및 가변)’를 주요 도시구성 체계로 제안됐다.
이는 사전적인 용도지역의 지정‧구분에 따라 직주근접이나 혁신적 도시 조성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고, 기존 신도시 조성의 토지이용계획 중심 개발 등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는 마스터플래너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또한 도시 내에서 개인소유 차량을 이용한 도어투도어(Door-to-Door) 이동에 따른 교통혼잡 문제, 도시 전체 관점에서의 경제적 손실을 감안,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의 개념을 제시해 개인 소유 자동차는 생활권으로 진입하는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량과 공유차량 및 자전거 등을 이용, 이동하는 교통운영 체계를 제안했다.
아울러 신경건축, 유니버셜 디자인 등 도시 디자인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도 강조됐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시범도시의 비전으로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를 제시했다.
기존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미래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주요 추진방향으로는 ‘3대 특화전략’을 제시했다.
3대 특화전략 중 첫 번째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출신인 마스터플래너의 철학을 반영해 구상한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Smart Tech City)’다.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 테크 샌드박스 운영 등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의 시범도시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신성장 산업 기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에코델타시티가 주요 국가 교통망(김해공항, 제2남해고속도로, 부산신항만) 및 녹산 및 신평·장림 국가산단, 사상 스마트밸리 등 주요 산업단지와 인접해 산업·물류 중심의 장점이 있는 것을 고려하는 한편, 4차산업혁명 관련 다양한 첨단산업을 유치·육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에코델타시티를 둘러싼 물과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해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친환경 물 특화 도시(Smart Water City)’를 제안했다.
시범도시 내 3개의 물길이 만나는 세물머리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수자원 관리와 하천 재해예방을 위한 스마트 상수도·빌딩형 분산정수·수열에너지·에코필터링·저영향개발(LID) 등 물 관련 신기술을 접목한 한국형 물순환 도시 모델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및 빌딩정보모델링(BIM) 기술, 3D 맵 기반의 가상도시를 구축해 도시 계획-건설-운영·관리 단계에서 온라인 의견수렴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Smart Digital City)’도 제안됐다.
|
|
|
▲ 제공=4차산업혁명위원회 |
한편, 정부는 시범도시 지정으로 인해 추가되는 사업비 중 국가 지원이 인정되는 분야에 한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시범도시가 4차산업혁명 관련 첨단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로 조성하기 위해 부처별로 산재돼 있는 연구개발(R&D)을 시범도시라는 장소 중심으로 집적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와 연계되는 부처 R&D 중 개발내용과 기술 수준을 고려해 도시단위의 추가실증이 필요한 경우 시범도시 연계를 추진(실증비용 지원)하고, 시범도시 실증을 전제로 한 신규 R&D를 적극 검토하고자 국토부·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협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사업시행자(LH·K-Water)도 기본 인프라(도로, 상하수도 등) 고도화 및 토지조성 등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부담하게 되며, 스마트시티 관련 추가되는 사업비는 확정된 콘텐츠를 기초로 추계해 추후 조성비에 추가 반영할 예정이다.
현재 사업자별 총 사업비는 LH(세종 5-1) 7000억원, K-Water(부산 EDC) 1조원 규모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