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영민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내에 흩어져 연구실별로 따로 사용하던 연구장비를 분야 또는 장비 기능별로 모아 공동활용하는 시설(핵심연구지원시설) 조성의 선정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
|
|
▲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번 정부 주도로 최초 추진하는 대학 내 핵심연구지원시설 조성은 그동안 대학에 연구장비가 지속 지원돼 왔으나 대학 내 연구실 소속 인력(교수, 석박사) 중심으로 연구장비를 활용함으로써 전문적인 장비 운영이 어려웠던 연구 환경을 개선해 장비 활용도와 연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올해는 시범 사업을 진행해 10개 지원 대학 중 전남대(에너지 융복합 연구지원센터), 경북대(질량분석지원센터), 성균관대(MEMS·센서 플랫폼)의 총 3개 대학이 선정됐다.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지원 대상을 늘려 연구 생태계 변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흩어져 있던 기존 장비를 핵심연구지원시설로 옮기고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선정된 대학은 9월에 장비 이전을 착수하여 12월부터 본격적인 공동활용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한, 시설이 안정적으로 조성·운영되고 정부 지원 종료 이후에도 자립 가능한 시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 분야 전문가(공동활용시설 운영 전문가, 연구장비 전문가 등)로 구성된 컨설팅단을 구성해 밀착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장비활용종합포털(ZEUS)을 통해 내부 이용자의 활용 상황을 관리하고 시설이 안정화된 이후에는 외부 이용자도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 조성 기관으로 선정된 전남대 에너지 융복합 연구지원센터의 하준석 교수(사업책임자)는 “과제 종료 등으로 활용성이 떨어진 개별 연구실의 연구장비를 모아 하나의 연구 분야로 특화된 공동활용시설로 새롭게 재탄생시킬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동종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역량을 높일 수 있는 훌륭한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태희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이 국가 R&D 예산으로 도입한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대학의 연구환경을 향상시킴으로써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모범적인 한국형 공동활용시설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며 “과기정통부에서는 앞으로도 예산 지원과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장비 공동활용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