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동준 기자]각종 현안으로 여야가 극한 대립각을 세우던 국정감사도 어느덧 종반으로 향하는 가운데 각 상임위원회에서는 초·재선 의원들의 활약이 돋보이고 있다. 정쟁 속에서도 눈에 띄는 ‘송곳질문’을 날린 이들을 두고 나름의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평이 나온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례대표 초선인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소속 상임위인 교육위원회에서 교육부의 이른바 ‘캠코더’(문재인 대선 캠프 출신, 코드, 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 중용 실태를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교육부 산하기관 및 유관기관 임명직 인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약 20%에 달하는 인원이 캠코더 인사였다는 것.

실제 전 의원이 교육부 산하기관 및 유관기관 인사 현황과 이력서 등을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10월 10일을 기준으로 총 231명의 임명직 임원 가운데 47명(20.3%)이 캠코더 인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직책별로는 기관장을 포함한 이사직 196명 중 36명에, 감사의 경우 35명 중 11명에 캠코더 의혹이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해서 전 의원은 “(문재인 정부) 자신들이 과거 정부에 했던 비판을 뒤로하고, 점령군처럼 캠코더 인사를 하고 있다”며 “이러고도 정의와 공정을 말할 수 있는지, 그야말로 ‘내로남불’ 정부”라고 일침을 가했다.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두 명의 재선 의원이 도드라진 활약을 보였다. 주인공은 경기 남양주시에 지역구를 둔 주광덕 한국당 의원과 서울 관악구를 지역구로 둔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

검사 출신인 주 의원은 올해 국감에서 친정을 향해 날 선 질문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 일가의 뇌물수수 사건을 다시금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데 역할을 톡톡히 했다. 특히 지난 12일 법무부 국감에서 박상기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노건호·연철호 500만 달러 수수’ 의혹의 공소시효가 ‘15년’이라는 답변을 받아내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초 만료된 줄 알았던 공소시효가 아직 남아있음이 확인되면서 주 의원은 검찰로의 화력을 집중했다. 이에 19일 서울지방검찰청 등 국감에서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을 향해 “특별수사팀이나 특수부 배당을 적극 검토해달라”고 촉구했고, 윤 지검장이 수긍해 노 전 대통령 일가를 향한 수사가 현실화될 것임을 시사했다. 최근에는 문무일 검찰총장으로부터 사건 관련 고발인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답변도 받아냈다.

오 의원은 법조계 출신이 아님에도 노력으로 빛을 발한 케이스다. 2006년 연극배우를 은퇴한 뒤 정계에 입문한 오 의원은 이번 국감에서 꽁꽁 싸매져 있던 사법농단 의혹을 질타하는 데 ‘선봉장’ 역할을 했다. 23일 광주지검 국감에서 오 의원은 “사법농단과 관련한 위기의 중심에는 법원행정처의 권한 남용 등이 있다”며 “그 이면에는 법관들의 판사 순혈주의와 엘리트주의 등이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또 25일 대검찰청 국감에서는 정쟁으로 잘 부각되지 않던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를 다시금 끄집어내는 모습도 보였다. 얼마 전 가동되기 시작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를 맡기도 한 오 의원은 25일 대검찰청 국감에서 문 총장을 향해 “경찰에게 수사하는 노하우를 주는 방법으로 충분히 검찰권을 유지할 수 있지 않냐”는 등의 의견을 피력했다.

   
▲ 순서대로 자유한국당 전희경 의원·주광덕 의원,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의원실·바른미래당 등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