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생산국 등극…OPEC 영향력 축소
국제유가, 원유 수요 증가 없이 반등 어려워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사우디아라비아가 감산을 통해 국제유가를 반등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내 정유·석유화학업계 일각에서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이익 및 정제마진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0.5달러, 브렌트유와 두바이유는 각각 59.0·58.9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달 25일 대비 평균 9달러 가량 높아진 것이지만, 지난해 10월초와 비교하면 26달러 정도 낮은 수치다.

칼리드 팔리흐 사우디 산업에너지·광물부 장관은 산유량 조절을 통해 저유가 현상을 타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13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개최된 에너지 관련 회의에서 "국제유가를 배럴당 60에서 86달러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사우디가 감산을 통한 국제유가 반등을 노리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팔리흐 장관은 지난달 타결된 OPEC+(OPEC 및 10개 주요 산유국)의 감산 합의 준수에 앞장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OPEC+는 올해 6개월간 일일 평균 120만배럴 감산에 합의한 바 있다.

그는 120만배럴 감산이 이행될 경우 원유 저장량에 영향을 끼쳐 유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팔리흐 장관의 발언이 실현될 경우 국제유가는 배럴당 평균 15.2달러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OPEC의 영향력이 과거와 같지 않고 수급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 국제유가가 이처럼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OPEC은 2010년대 중반 미 셰일업계 고사를 위해 '치킨게임'을 벌였지만, 기술개발 등으로 셰일오일의 채산성이 높아진 것은 물론 산유국들이 전체적으로 재정난을 겪고 있어 이같은 현상이 다시 벌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 미국산 셰일가스가 국적선에 선적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2017년 러시아와 사우디에 이어 3위를 기록했던 미국이 지난해 이들을 제치고 최대 원유생산국으로 등극하고, 수출량 역시 세계 4위로 올라서는 등 주요 플레이어로 거듭난 것도 언급됐다.

미국이 재정적자 축소를 위해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줄이는 상황에서 역내로 수출되던 두바이유가 다른 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게 되면 국제유가 하락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두바이유를 주로 수입하는 동북아의 경우 선택지 확대에 힘입어 '중동산 원유 프리미엄'을 낮출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경기둔화 등으로 원유 수요가 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국제유가 상승을 저해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중국의 수출입이 급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4일 WTI·브렌트유·두바이유 모두 전날 대비 2% 이상 하락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3·4분기 국제유가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평가되는 미중 무역분쟁 역시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며 "미국은 중국에 산업 정책 변화 및 지재권 보호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으로서는 이를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