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미 간 2차 정상회담 일정이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지난해 6개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핵물질을 추가로 확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룸버그 통신은 14일(현지시간) “위성사진과 정보 당국의 분석을 종합한 결과 북한은 지난해에도 지속적으로 핵능력을 확장해왔다”며 “6개의 핵탄두를 추가로 제조할 수 있는 물질을 확보해 북한의 핵무기는 20개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전날 주일 미군이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북한이 15개 이상이 핵무기를 보유했다”고 주장한 데 이어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통신은 위성사진 분석과 미국 정보당국에서 흘러나온 정보들을 인용해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중단한 이후 로켓과 핵탄두를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대량생산해왔다고 전했다.

위성사진을 통한 무기확산 분석가이자 ‘원 어스 퓨처’ 재단의 멜리사 해넘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느려지거나 중단됐다는 징후는 없다”며 “오히려 북한의 핵개발이 새로운 단계에 올랐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로 의심되는 두 곳을 계속 가동해왔으며, 하나는 영변 핵시설 부근에 있고, 다른 하나는 가스 원심분리기지로 의심된다는 한 보고서 내용을 전했다. 다른 보고서는 북한이 최근 무기공장을 증강했고, 미국 본토까지 도달할 수 있는 최초의 ICBM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되는 공장을 여전히 가동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북한 정권이 아마도 새롭고, 숨기기 쉬운 고체연료 로켓의 엔진을 만들고, 장거리미사일을 위한 지하 기지를 확장시켰을 것이라고 분석하는 보고서도 소개했다.

따라서 블룸버그 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략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고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데 필요한 외교적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그가 갖고 있는 무기들을 조용히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라고 전했다.

북한과 미국의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기간이 김 위원장에게 미국 본토를 타격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장비를 완비하는 데 여유를 주었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앞서 지난해 12월27일 NBC방송도 “김 위원장은 (핵·미사일) 연구·개발에서 대량 생산으로 옮겨 갔다. 북한은 계속 핵분열 물질을 생산하고 있으며 북한 전역에서 미사일 기지를 개발하고 있다”며 “현재 생산 속도라면 북한은 오는 2020년까지 100개가량의 핵탄두를 보유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핵과 ICBM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는 보도가 잇달아 나오면서 미국이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보다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ICBM 폐기에 주력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문재인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만 강조해왔다. 문 대통령은 10일 신년 회견에서도 “김 위원장은 나에게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나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완전한 비핵화와 자신이 말하는 비핵화에 전혀 차이가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도 올해 1일 신년사에서 “핵무기를 만들지도, 시험하지도, 사용하지도, 확산시키지도 않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이런 주장은 완전한 허구이며, 일부 전문가들의 평가처럼 이미 핵보유국의 지위를 갖고 협상에 임하겠다는 압박성 주장인 셈이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1월8일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4차 북중정상회담을 가졌다./노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