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에너지 분야와 관련된 새로운 사업 개발을 위해 팔을 걷는다.
|
|
|
▲ 사진=뉴시스 |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신(新)산업 창출방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앞서 민간전문가와 공동으로 제품과 서비스의 전달구조, 시장의 자생력, 사업화 시점 등을 고려해 6개의 신사업 모델을 선정한 바 있다.
6개 신사업 모델은 ▲전력 수요관리사업 ▲에너지관리 통합서비스사업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 ▲태양광 렌탈 사업 ▲전기차 서비스 및 유료충전사업 ▲화력발전 온배수열 활용 사업 등이다.
전력 수요관리사업은 수요관리시장의 자생적 성장을 위해 민간 전력수요관리사업자가 수요감축이 가능한 설비를 확보한 뒤 절약한 소량의 전기를 모아 전력시장에 입찰해 수익을 내는 구조다.
에너지 통합서비스 사업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의 투자효과가 높은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성 분석부터 사후관리까지의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는 사업이다.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은 발전단가가 높은 도서지역의 디젤발전기를 신재생 융합 마이크로 그리드로 대체하는 구조로 이뤄진 모델이다.
태양광 렌탈 사업은 정수기 임대사업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뤄진다. 태양광 설비를 가정에 빌려주고, 줄어든 전기요금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전기차 서비스 및 유료충전사업은 충전기를 설치하고 전기택시 등 전기차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유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하며, 화력발전 온배수열 활용 사업은 화력발전소에서 버려지는 막대한 온배수열을 인근의 복합영농에 활용하는 사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신산업 창출 방안이 실시될 경우 오는 2017년까지 에너지·기후변화 분야에서 2조800억원의 신시장이 창출되고 1만2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선정된 6개 신사업모델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미래 에너지산업의 시장 환경 개선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전력 수요관리사업 추진을 위해 수요관리형 요금제 적용대상을 확대하고, 다양한 선택형 요금제를 도입해 에너지 시장규칙을 재설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지속적인 신산업 창출 동력 확보를 위해 기술개발 지원, 특히 탄소 배출권거래제 부담이 큰 산업계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발굴된 사업모델이 해외 수출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외 수출사업의 국내 탄소 배출권 상쇄대상 인정, 국제기구의 지원사업 연계, 무역보험 보증 등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스마트그리드(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해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확산사업, 후속 신산업 창출을 위한 마중물 기술 개발 및 보급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미디어펜=김세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