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 조한진 기자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유치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지자체들이 눈에 불을 켜고 있다. 경기도 용인과 이천, 충북 청주, 충남 천안, 경북 구미 등이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120조원을 들여 조성하는 반도체 클러스터는 세수증가·고용확대 등 지역 발전의 기폭제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4개와 50여 개의 반도체 협력사들이 자리를 잡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치 경쟁에 뛰어든 지자체들은 다양한 지원 방안을 약속하며 러브콜을 보내는 상황이다.

이번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전은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균형발전’의 주장이 맞서는 모양새다. 해당 지역 국회의원, 지자체장들도 나름의 당위성을 내세워 반도체 클러스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최근 우리 경제를 이끌다시피하고 있는 반도체는 녹록지 않은 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출렁이는 상황에서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우리 반도체 기업들은 메모리 반도체의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을 끌어 올려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반도체 클러스터는 우리 반도체산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무엇보다 반도체 기업과 전체 산업 전체의 경쟁력 확대가 중요하다.

특히 우수 인력은 반도체 경쟁의 핵심 요소다.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인재 확보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인재들이 회사를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크게 보는 사항 중 하나가 생활 여건”이라고 말했다. 출퇴근 거리가 멀고, 가족들의 생활 환경이 충족되지 않으면 급여가 높아도 손사래를 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 /사진=SK하이닉스 제공

중국 기업들은 몇 배의 연봉, 자녀의 교육 등 여려 당근책을 제시하면 한국 반도체 인력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들은 잡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절실한 상황이다.

반도체 생태계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통신수단이 아무리 발전했다고 해도 사업장 간의 물적, 인적교류가 반드시 필요하다. 반도체 클러스터 역시 기업 업무의 효율성, 기존 사업장과의 시너지 강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반도체는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산업이다. 업계와 시장, 전문가들은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타이밍도 중요하다. ‘반도체 코리아’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기 투자와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피도 눈물도 없는 글로벌 시장에서 싸우는 대표 선수는 기업이다. 120조 반도체 클러스터는 경제와 기업 논리가 반드시 우선순위에 놓여야 한다. 자칫 정치·지역 논리에 말려 반도체 클러스터의 방향이 결정될 경우 막대한 혈세가 투입되는 노력의 결과가 반감될 수도 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