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르노삼성자동차 노조의 파업으로 지난달 실적이 절반가까이 줄며 큰 손실을 기록했다. 더욱이 이런 손해가 하청업체로까지 번지고 있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현재 하청업체들은 구체적인 휴무 일정을 확정하지 못해 고용노동부의 지원금마저 포기한 상태다.
|
|
|
▲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사진=르노삼성 |
3일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르노삼성 협력업체 30곳을 대상으로 긴급 모니터링을 벌인 결과 최대 40%에 달하는 회사가 납품물량 감소 피해를 겪고 있다.
협력사들은 르노삼성의 부분파업이 이어질 때마다 조업을 중단하거나 단축하고 있다. 납품 물량이 감소하면서 고용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르노삼성에 시트를 납품 중인 A업체는 하루 4시간만 공장을 가동 중이다. 그나마 수요 예측이 어려워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러 모델을 하나의 라인에서 혼류생산 중인 르노삼성은 이른바 '싱크로 시스템'을 바탕으로 돌아간다. 재고를 충분히 쌓아두는 게 아닌, 실시간으로 바뀌는 생산계획에 따라 관련부품을 협력사에 요청하면 협력사가 이를 납품하는 방식이다.
파업 결정 여부도 뒤늦게 전해져 협력사들도 생산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매일 매일 당일 생산계획과 파업 계획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용노동부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하고 싶어도 구체적인 휴무 계획을 세울 수 없어 신청 자체를 포기한 상태로 알려졌다.
엔진 부품을 생산 중인 B사는 "자동차산업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르노삼성차 납품 물량마저 40% 감소해 최근 300%에 달하는 근로자 상여금을 일괄 삭감하면서 노사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특히 르노삼성차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위탁생산 중인 닛산 로그 후속 물량 배정이 확정되지 않고 있어 협력업체 불안감은 한층 커지고 있다.
르노삼성 납품 비중이 60%에 달하는 C사는 "자동차 내수가 어려운 상황에서 로그 후속 물량마저 받지 못하고 분규사태가 장기화하는 것이 가장 큰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차체 프레스 부품을 르노삼성에 100% 납품하는 F사는 상황이 더 악화하면 부산공장을 정리하는 방안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파업의 장기화 되며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생산기지 르노삼성 자체적인 경쟁력 역시 떨어지고 있어 앞날을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다. 르노삼성 노조의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 여파 등으로 3월 판매량이 전년 동기에 비해 40% 가까이 급감했다.
르노삼성은 지난 한달 간 내수 6540대, 수출 7256대 등 총 1만3796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내수는 16.2%, 수출은 62.3% 급감한 수치이다. 전반적으로 신차 부재에 따라 내수 판매가 줄어든 상황에 부산공장 노조의 부분파업까지 겹친 것이 실적 하락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르노삼성의 3월 내수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으나 QM6와 SM3의 판매실적을 매우며 그나마 큰 폭의 하락을 막았다. QM6가 2871대 판매되며 27.4% 증가했고, 경차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춘 SM3도 438대로 10% 이상 늘었다.
더욱이 지난달부터 LPG차량을 누구나 구매할 수 있게 되며 르노삼성에 새로운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속되는 노조의 파업으로 이 같은 호조를 누리지 못할 상황에 처해있다.
르노삼성이 완성차 최초로 도입한 도넛형 LPG저장탱크가 트렁크 공간을 일반 차량과 같은 수준으로 활용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또 QM6의 LPG모델까지 공식 출시하며 많은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기 드문 르노삼성의 호조가 될 상황이지만 노조의 파업이 지속되며 이러한 특수를 마음 것 누리지 못하고 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르노삼성은 부산 매출 1위 기업이고 수출도 20% 이상 차지할 정도로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이다"며 "분규사태 장기화로 협력업체뿐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에 미치는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완화로 새로운 호조를 맞이한 르노삼성이 노조의 영향으로 판매성장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은 안타깝다"며 "시장의 호응이 있을 때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조가 현명한 판단을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