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중국에서 한국 최대 인터넷 포털 네이버의 접속이 완전히 막혔다.
14일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선전 등 중국 주요 도시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에 아예 접근할 수 없다고 호소하고 있다.
지난 4일의 천안문 민주화 운동 30주년에 즈음해 'http'로 시작되는 네이버의 모든 페이지가 막혀 암호화한 'https' 페이지로만 접속할 수 있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네이버를 완전히 이용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다음은 지난 1월부터 중국에서 접속이 전면 차단됐다. 지난해 10월부터는 네이버 서비스 가운데 카페와 블로그의 접속이 막혔다.
IT 분야의 한 전문가는 "중국 정부가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를 통해 네이버를 전면 차단한 것 같다"고 풀이했다.
인터넷 업계의 다른 관계자도 "중국 정부가 직접 막으면 공지를 해야 하므로 업체들을 통해 통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에 이어 네이버까지 한국 포털사이트는 중국에서 사실상 다 막힌 셈인데, 천안문 사태 30주년과 홍콩 시위가 계기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최근 홍콩에서 100만명이 운집할 정도로 시위가 거세자 중국은 인터넷 통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메신저 텔레그램도 최근 디도스 공격을 받았는데 이 업체는 중국에서 공격이 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업체의 CEO는 "과거에도 홍콩에서 시위가 벌어질 때 비슷한 규모의 공격을 받은 적이 많다"며 "이번 경우도 예외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네이버 사이트를 차단한 것은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변조 방식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한 전문가는 "네이버에 접속하려면 공인 IP 주소가 있어야 찾아갈 수 있는데 엉뚱한 IP 주소를 던져줘 접속을 차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의 네이버 접속 불통 사태와 관련해 중국 측과 접촉 중이지만 별다른 반응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단기간에 차단이 풀리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