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번주 후반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지난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될지 주목된다. 

최근 평양에서 북중 정상회담이 개최됐고,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사카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이후 서울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동북아 외교의 ‘수퍼위크’가 예고됐다.

먼저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최고지도자로서 14년만에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5차 북중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때 김 위원장은 인내심을 갖고 북미 협상에서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고, 시 주석도 적극 지원을 약속하며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시 주석의 방북 직후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친서를 받은 사실을 공개하며 “흥미로운 내용에 만족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능력과 용기에 사의를 표한다.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친서가 전달된 시점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최근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냈던 만큼 이에 대한 답신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의 친서를 받은 사실을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따뜻하고 멋진 편지”라고 평가한 바 있다.

여기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장관이 23일(현지시간) “당장 대화를 시작할 준비가 돼있다”라며 실무협상 재개에 서두르는 모습도 보여 양측의 만남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가능성도 커졌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도 19일 “북미 모두 유연한 접근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져왔고, 지난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뤄왔던 북중 정상회담이 성사된 만큼 조만간 3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지 주목된다. 

특히 시 주석의 방북을 전후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에 친서가 오고간 것을 볼 때 그동안 북미 간 물밑 소통이 진행됐을 것이라는 짐작도 가능케 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를 끝내자마자 29~30일 한국을 방문해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은 1박2일 일정으로 서울에 머물 예정으로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과 일본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방한 기간 중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할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정부에서는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지만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11월 첫 방한 당시 문 대통령과 DMZ를 방문하려다가 기상 문제로 가지 못했던 일이 있다. 게다가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거나 혹은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남북미 정상이 함께 만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백악관의 공식 브리핑이 아닌 것은 일일이 확인해줄 수 없다”며 “외신에서 거론되는 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 문 대통령 세 사람이 (판문점에서) 만날 것이라는 것은 청와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최대 이슈는 미중 무역갈등과 북핵 문제가 될 전망이다. 시 주석의 방북으로 앞으로 중국이 북한 문제에 적극 개입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남기면서 미국을 상대로 두 이슈가 합쳐지는 효과도 낳았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시 주석의 방북이 북미 대화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았다. 

오사카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나 지난 북중 정상회담 결과를 전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DMZ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전격 회동한다면 북미대화에 진전을 이룰 가능성도 있다. 북미 정상간 친서 교환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이 조율되는 과정에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북미 간 실무급 조율이 진행됐을 경우이다.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들어 있다는 ‘흥미로운 내용’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북미협상 재개에 실마리가 될 만한 제안 등이 친서에 포함됐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런 한편,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이 마주앉는 일이 벌어지더라도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은 별개의 문제로 남아 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