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일본 정부는 2일 아베 신조 총리 주재로 열린 각의에서 한국을 수출절차 간소화 혜택을 인정하는 화이트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했다./연합뉴스 |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일본 정부가 2일 수출절차를 간소화하는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하기로 한 가운데, 외신들은 주요 뉴스로 일본의 조치를 보도했다.
주요 외신들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의 배경을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자 배상 판결로 봤다. 일본의 조치가 한일 갈등을 고조하고, 글로벌 공급망(global supply chain)은 물론 미국이 주도하는 아시아 안보전략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도 분석했다.
AP통신은 “최근 수출통제와 강제 징용 배상 문제로 최고조에 달한 양국의 적대감에 기름을 붓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이어 “아시아 이웃 국가 간 갈등은 첨단 기술 분야에 파급이 있고, 미중 무역마찰로 이미 흔들리고 있는 공급망에 추가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이터통신도 강제 징용 배상 문제로 고조된 양국간 긴장이 일본의 조치로 고조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조치 이후 한국 증시가 1%가량 하락했다는 점을 들어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는 악재라고도 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안보 관계와 글로벌 공급망을 위협하는 미국의 두 동맹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국내 증권사 연구원을 인용,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게는 구조적 악재라는 점도 짚었다.
CNN은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함으로써 스마트폰과 전자제품의 글로벌 공급망을 위협하는 분쟁을 확대했다고 타전했다. 일본이 지난달 초 단행한 반도체 소재 등 3개 화학제품에 대한 한국 수출규제 강화는 이미 세계 반도체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풀이했다.
뉴욕타임스(NYT)도 “이번 규제가 한국에서 전 세계 공장으로 공급되는 중요 전자 부품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투자자들의 공포를 초래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겁먹게 했다”고 했다. 한일 분쟁으로 중국의 영향력이 커져 미국의 대(對)북한 협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미국 정부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도 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일 분쟁이 한국의 전자 산업부터 일본의 소비재에 이르기까지 이미 경제적 고통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역내 핵심 동맹국 사이의 안보 협력도 위협하고 있다고도 했다. WP는 양국 민족주의자들의 격분이 한일 정부를 ‘보복의 악순환’에 가두고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