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나루히토 일왕이 "과거에 대해 깊은 반성을 한다"고 말했다.
15일 도쿄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패전) 74주년 기념행사인 '전국전몰자추도식'에 참석한 새 일왕은 기념사에서 "과거를 돌아보면 '깊은 반성'을 한다"고 밝혔다.
이날 추도식은 전후 세대인 나루히토 일왕의 지난 5월 즉위 후 처음 열린 일본 정부 주최의 종전 기념행사라는 점에서 일왕의 언급 등이 주목받았다.
나루히토 일왕은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을 맞았다"며 "소중한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들과 유족을 생각하며 깊은 슬픔을 새롭게 느낀다"고 밝혔다.
일왕은 이어 "전후 오랫동안 이어온 평화로운 세월을 생각하고, 과거를 돌아보며 깊은 반성을 한다"며 "두 번 다시 전쟁의 참화가 반복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간절히 원한다"고 말했다.
나루히토 일왕이 '깊은 반성'이란 표현을 사용한 것은 지난 4월 퇴위한 부친인 아키히토 전 일왕의 견해를 계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아키히토 전 일왕은 2015년 추도식 때부터 '깊은 반성'이란 표현을 사용해 왔다.
|
 |
|
▲ 아베신조 일본 총리 /사진=연합뉴스 |
그러나 아베 신조 총리는 아베 일본 총리는 종전기념일인 이날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을 통해 일제 침략전쟁의 상징인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보냈다.
이날 기념사에서도 '반성'이나 일제 침략전쟁으로 큰 고통을 겪은 아시아 주변국들에 대한 '가해자'로서의 책임을 시사하는 언급은 일절 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기념사에서 "이전 대전에서 300만여 명의 동포가 목숨을 잃었다"며 "무참히 희생된 분들이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지금 우리가 누리는 평화와 번영은 전몰자 여러분의 고귀한 희생 위에 세워진 것"이라며 "다시 한번 충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친다"고 말했다.
또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 내일을 살아가는 세대를 위해 국가의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교도통신은 2012년 말 총선에서 이겨 재집권을 시작한 아베 총리는 2013년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8·15 종전 기념행사에서 가해자로서의 일본 책임을 거론하지 않은 셈이 됐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패전일인 매년 8월15일 전국전몰자추도식을 열어 일제가 일으킨 태평양전쟁 당시 사망한 자국민을 추모하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