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인 인적쇄신 통해 부진한 중국시장 변화 시도
현지 전략형 모델, 첨단 사양 통해 현지 브랜드와 자별화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중국 시장을 대상으로 대대적 인적쇄신과 함께 차별화된 제품전략으로 전략변화를 시도한다.

그동안 이른바 '관시(關係·관계)'로 통하는 '현지통'을 앞세웠던 전략과 달리 전문가의 전략과 기술에 집중하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 저가형 제품을 통한 판매전략과는 약간 다른 제품군을 통해 '상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광국 신임 현대·기아차 중국사업총괄. /사진=미디어펜


4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중국 현지에서 토종 메이커와 차별화를 위해 본격적인 제품 경쟁력 확보전이 시작됐다. 

올해는 현대·기아차가 2000년대 들어 세 번째 신차 슈퍼 사이클에 진입하는 시기다. 이런 신차 봇물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에서 내년부터 향후 1~2년 사이 전략 신차가 대거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판매 모델과 현지판매 차종이 다르다. 

다만 신차의 뼈대인 플랫폼이 변경됐고 여러 차종을 개발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한 만큼,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 다양한 신차가 중국 현지에 쏟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말 현대차가 중국 현지에서 전략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ix25를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소형 SUV 투싼을 밑그림으로 2014년 현지에 내놓은 ix25는 이번에 2세대로 거듭나며 다양한 첨단장비를 총망라해 탑재했다. 

고속도로 자율주행보조 기능은 물론, 국내에서도 이제 막 등장한 스마트폰 디지털 키 공유를 비롯해 개인화 설정, 블루투스 차량 제어 기술, 카투홈 등 첨단 커넥티비티 기술을 현지에서 동급 최초로 갖췄다. 

중국 토종 메이커가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새 기술을 대대적으로 투입해 토종 메이커보다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현대·기아차 중국사업총괄에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인 이광국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 임명했다.

또 폭스바겐 중국 연구개발(R&D) 담당을 지낸 스벤 파투쉬카(Sven Mirko Patuschka)를 현대·기아차 중국기술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영입했다. 

이번 인사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최대 격전지인 중국 시장에서 리더십 변화를 통해 현지 대응력과 경쟁력을 제고하고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차원으로 분석된다.

최근 중국사업 부문 조직개편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인사로, 리더십 체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최근 현대·기아차는 중국사업 부진 타개를 위한 조직개편과 리더십 변화 등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4월 중국사업 임직원을 중국으로 전진 배치한 데 이어 8월에는 중국 지주사 중심의 강력한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조직 재정비를 마쳤다. 

또한 9월에는 둥펑위에다기아가 판매 및 관리 역량이 검증된 리펑(李峰) 총경리를 임명한 바 있다. 기아차가 현지인을 중국법인 CEO로 선임한 것은 처음이다.

무엇보다 이른바 관시로 통했던 현지통 인물을 대신해 전략과 기술로 승부하겠다는 정의선 수석부회장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정몽구 회장이 글로벌 경영을 앞세워 초기 중국사업을 확대하던 당시에는 설영흥 중국사업담당 부회장이 전략을 이끌었다. 이른바 관시가 통하는 중국시장에서 초기 시장확대를 주도한 인물이다. 

반면 이제 그룹의 경영전략과 기술력을 앞세워 현지 시장 회복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신임 중국사업 책임자인 이광국 사장은 독일, 영국 등 풍부한 해외사업 경험과 다양한 대내외 네트워크,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보유한 적임자로 평가된다.

국내사업본부장을 지낸 동안에는 성공적 신차 론칭과 차별화된 마케팅, 고객과의 소통 활동 등 현대자동차의 판매 및 브랜드 혁신을 이끌었다. 

이 같은 활동 덕분에 정의선 수석부회장의 신임이 두터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 현대차그룹의 중국시장 전략수정의 시초가 되는 중국 전략형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신형 ix25 /사진=현대차


이광국 사장은 앞으로 현대·기아차 중국사업을 총괄하며 판매 증대를 통한 사업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가치 제고, 중장기 비전 수립 및 사업 전략 구체화 등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기아차 중국기술연구소장을 맡게 된 스벤 파투쉬카 연구소장은 10여 년간 쌓은 중국시장에 대한 전문지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중국 현지 모델들의 경쟁력을 한 단계 더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스벤 파투쉬카 소장은 중국시장 특성을 반영한 차량개발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하고 현지 전략 모델 개발 업무를 총괄하며 중국사업 재도약을 위한 R&D 경쟁력 제고에 앞장서게 된다.

특히 자율주행, 커넥티드 서비스 등 모빌리티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현대·기아차가 중국시장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빌리티 혁신을 주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현재 중국이 사드보복이후 미중무역전쟁으로 불리한 입장에 놓이며 화해의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는 점도 현대차그룹의 중국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중국의 경우 해외기업이 현지에 진출하려면 중국회사와 합작형태를 취하도록 해왔다. 특히 외국 기업은 합작회사의 지분을 50% 이상 보유할 수 없도록 했다. 이 때문에 현대차그룹은 중국법인에 대해 5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할 수 없어 의사결정에 제한을 받아왔다.

하지만 중국당국이 현대차에 이례적으로 상용차공장 '쓰촨현대'의 지분 100% 매입을 제안하며 자유로운 의사결정과 기술유출 등의 불안요소를 해소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미 쓰촨현대가 이미 자본잠식상태에 빠져있어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이번 결정이 현대차 입장에서 큰 의미 차이로 보기에는 쉽사리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도 긍정적으로만 해석하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이 삼성 등에 보이고 있는 우호적인 입장을 보면 부정적으로 보기만은 힘들 수도 있다. 

다만 이번 현대차그룹의 중국시장에서 대대적인 인적쇄신에 나가고 있는 것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향후 현대차그룹의 중국시장 전략변경에 긍정적인 부분으로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앞서 실적발표에서 현대차그룹이 중국시장의 전략변경을 선언한 만큼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새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중국시장 새전략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며 "과거만큼은 아니겠지만 정공법을 택한 중국에서 현대차그룹의 약진을 기대해 볼 만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