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50.6% "4차 산업혁명, 기회이자 위기"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중소기업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제5차 중소기업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중소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4차 산업혁명 인식 및 대응 현황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평가 및 과제에 대해 이뤄졌다.

   
▲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인지 여부./자료=중소기업중앙회


4차산업혁명 인식 및 대응현황 관련, 4차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과거 중앙회가 실시한 조사결과와 비교 시 개선되지 않았지만, 디지털전환의 체감은 과거 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으며,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하여 ‘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이 10.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28.7%)·투자대비 효과 불확실 (28.3%)·투자자금 부족 (27.7%)·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순으로 응답했다.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하여 현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기업의 16%가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가 향후 활용예정인 것으로 집계됐었다.

향후 5년 내 대응 목표 수준은 1단계(21%)·3단계 이상(23.0%)·2단계(15.7%) 순으로 응답했다.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해 클라우드/빅데이터 기술을 도입 할 경우 '효율성 증대'가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부담(38.2%), 전담‧운용인력 등 조직역량 부족(30.5%) 등이 걸림돌로 나타났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34.0%)·생산설비 노후화(27.3%)·시스템 도입 및 관리(24.3%)·낮은 생산성(18.3%) 등의 순으로 나왔다.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중소기업의 12.7%가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고,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53.7%)·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36.3%)·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18.7%)·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의 순이었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과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발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