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주거관련 홈페이지 통합‧연계, LH 정보 포함
주거지원 자가진단, 온라인 상담 맞춤형 서비스
   
▲ 사진=서울시.

[미디어펜=손희연 기자]서울시가 시는 물론 중앙정부를 포함한 공공의 모든 주거정보를 망라한 온라인 허브 플랫폼인 '서울주거포털'을 3일 오픈했다. 

서울주거포털에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주거복지 혜택과 금융지원 서비스를 바로 확인하고 신청까지 할 수 있다. 

이날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주거포털'은 기존에 분산 운영돼왔던 서울시의 주거 관련 사이트를 통합‧연계하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주거정책과 서울 지역 임대‧분양 정보까지 총망라했다.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고 있는 주거 관련 사이트는 ‘서울청년주거포털’, ‘공동체·사회주택플랫폼’, ‘e-주택종합상담실’,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 등이 있다. 이중 ‘서울청년주거포털’과 ‘e-주택종합상담실’은 ‘서울주거포털’에 통합되며, 나머지 사이트는 연계돼 주요 정보를 ‘서울주거포털’에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시와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주거지원 정책과 제도가 있음에도 몰라서 지원을 못 받는 경우가 없도록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주거포털’을 구축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서울시가 지난 10월 발표한 '신혼부부 주거지원 사업'의 핵심대책 중 하나다. 시는 앞서 지난달 청년‧신혼부부의 출발선인 집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로 보다 확대‧강화된 주거지원 정책을 발표하고, ‘서울주거포털’ 구축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서울주거포털’의 주요 서비스는 △자가진단 △서울주거정책 △임대‧분양정보 △온라인 상담 등이다. 
 
자가진단 서비스는 ‘내게 맞는 정책’과 ‘자가진단’을 통해 본인의 상황에 맞는 주거지원 제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다. 

‘내게 맞는 정책’은 신혼부부, 다자녀가구, 장애인 등 대상자와 연령 등을 선택해 본인에게 해당되는 정책을 찾는 단계다. ‘자가진단’은 주거지원 공공주택, 주택금융, 주거급여 등 3가지 중 관심 분야를 선택하고 자신의 소득, 혼인여부, 가구원 수 같은 정보만 입력하면 실제 신청 가능한 주거지원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주거정책은 실수요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주거정책 3개 분야인 공공임대주택, 주택금융지원, 주택개량지원로 나눠 정책 맵을 구성했다.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콘텐츠는 한 곳에 모아 소개한다. 청년월세지원,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소득기준 완화 같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되는 새로운 정책들의 진행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도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사업도 최근 정책을 업데이트해 제공한다. 

임대‧분양정보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LH에서 제각각 제공해왔던 임대‧분양 공고내용을 한 곳에서 제공, 서울 전역의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단 LH의 임대‧분양 공고 정보는 이달 중 제공된다. 

온라인 상담은 분야별 전문 상담가들의 온라인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기존 ‘e-주택종합상담실’을 통합 운영한다. 전월세 지원, 층간소음, 집수리 상담신청 같은 기존 서비스뿐 아니라 청년‧신혼부부 주거상담 등으로 확대‧강화한다. 

‘서울주거포털’은 반응형 웹으로 구현해 PC, 스마트폰, 태블릿PC 같은 모든 스마트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SNS와도 연계돼 관심 있는 주거정책 콘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서울시는 ‘서울주거포털’이 주거정보를 선도하는 핵심적인 온라인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장 최신의 정책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관련 사이트 및 정책 담당자 간 긴밀한 협력‧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주기적인 콘텐츠 점검과 현행화를 실시할 예정이다. 

오는 2020년에는 이용만족도 조사, 주기적 시스템 모니터링, 수요자 요구사항 반영 등 지속적인 개선작업을 통해 이용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편리성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류훈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이번 서울주거포털 오픈을 계기로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쉽게 자신에게 맞는 주거지원 서비스를 찾고 신청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주거지원이 절실하지만 부동산 관련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신혼부부들이 혜택을 몰라서 못 받는 일이 없도록 주거정보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온라인 소통창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관 간 협력‧협조 및 운영 활성화 체계를 갖춰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손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