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삼성전자의 경영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외부 리스크 확대로 경영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해지면서 미래 성장사업의 경쟁력 훼손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만 3년 가까이 수사와 압수수색, 재판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삼성전자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
|
|
▲ 삼성 서초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
전날 이상훈 이사회 의장 등 이달 초부터 5명의 삼성전자 임원이 법정 구속됐다. 이재용 부회장까지 파기환송심에 묶인 가운데 삼성전자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삼성전자의 향후 행보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 법적 리스크 확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주요 경영진의 재판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예단하기 어려워 경영 전반에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이유다. 그동안 미래전략을 진두지휘한 이 부회장의 보폭이 더 좁아질 경우 삼성전자의 ‘경영시계’는 오리무중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일시에 많은 임원이 사법적 문제로 자리를 비우게 되면 경영 공백 등 회사 혁신 전략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처벌을 받는 것은 맞지만 삼성이라는 이유로 무거운 책임을 물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경영진의 활동폭이 제한되면서 회사 안팎의 불안감은 점차 확산하고 있다. 업종간 경계가 무너지고, 신기술이 시장을 재편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미래 전략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는 걱정이다.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는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면서 모든 기업이 경쟁 상대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일본과의 통상마찰 등 대외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대응전략 약화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최근 경제 강대국들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자국 기업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제약을 받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쟁력 차이는 앞으로 더 벌어질 수 있다.
삼성전자의 주요 경영 일정도 꼬이고 있다. 통상 12월 초에 단행되던 정기인사가 밀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삼성전자의 정기인사가 내년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기인사와 직결된 조직 개편도 오리무중이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맞는 조직 정비가 요구되지만 삼성전자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큰 틀에서 (삼성전자의)경영전략은 유지되겠지만 속도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조직 개편은 퍼즐과 같다. 신사업 강화를 위해 조직을 정비하고, 인재를 영입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지만 당분간 삼성전자는 이 퍼즐을 맞추기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