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동국제강, 연구개발 통해 고부가가치 시장 선점
현대제철, 해외 판매·스마트화로 성장기반 구축
세아제강 美 생산법인, 올해 상반기 생산 시작
   
▲ (왼쪽부터) 최정우 포스코 회장, 김용환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 /사진=각 사


[미디어펜=권가림 기자] 철강업계가 2020년 신강종 등 틈새시장을 노리거나 철강 본업 경쟁력을 살려 해외 시장을 겨냥해 대내외 변수 지우기에 나선다.

1일 포스코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철강수요 성장률은 1.7%로 둔화된다. 

중국 철강수요 정체와 브렉시트, 자동차·건설·기계 산업 위축 등 다수의 악재 증대 탓에 지난해 성장률(3.9%)보다 낮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철강사들은 불확실한 환경을 타개하기 위한 카드로 차별화한 고부가 제품과 해외 시장, 신성장 동력 창출에 주력할 전망이다. 

포스코는 프리미엄 철강제품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강건재 시장 확대에 나선다. 최정우 회장이 강건재 시장 진출과 함께 적극적으로 마케팅할 것을 당부한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강건재는 빌딩, 주택과 같은 건축물이나 도로, 교량 등 인프라를 건설하는 데 사용된 철강제품이다. 포스코는 강건재 통합브랜드 '이노빌트'를 앞세워 마케팅-생산-기술 조직간 협업을 통해 강건재 시장서 신뢰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동국제강은 특수강사업팀을 신설해 신강종 개발에 사활을 건다. 특수강사업팀은 신강종 연구 개발에 주력하는 연구부서로 컬러강판 등 특정 제품에 국한하지 않고 고강도, 고성능의 신강종을 양산해 미래성장 기반을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생산라인과 연구진간 시너지를 위해 특수강사업팀을 기존 포항 중앙기술연구소에서 당진공장으로 옮겼다. 가전용 외판재, 고급가구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망도 확대할 예정이다.   

세아제강은 포화 상태인 내수를 겨냥하는 대신 해외 시장에 집중한다. 지난해부터 유정용강관 튜빙 제품 생산라인 증설을 진행해온 미국 생산법인 'SSUSA'는 설비 안정화 기간을 거친 후 올해 상반기 생산을 진행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정부의 인프라 투자와 주택, 도시발전 등 건설관련 프로젝트로 철강 시장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미국과 함께 베트남 내수 판매 확대에도 주력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법인장을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시켰다. 현대제철은 글로벌판재영업실 내 글로벌전략 테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해 오는 2021년까지 120만톤의 글로벌 자동차향 강판 판매를 노린다.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에서도 성장동력의 씨앗은 계속 키워나간다. 

포스코는 친환경자동차 조직을 강화하고 수소차, 전기차 소재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전기차 평균판매가격이 높은 고강도, 경량 철강재 수요가 늘며 수익성 향상에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경영연구원는 전기차 전환에 따른 신규수요로 전기차 1대당 강재(내판, 외판, 도어, 필러 등) 수요가 내연기관차 보다 65kg이 더 늘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제철의 경우 이날부로 프로세스혁신 TFT 조직을 안동일 사장 직속으로 배치하고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총력을 기울인다. 현대제철은 오는 2025년까지 지능형 생산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안 사장의 진두지휘 하에 철강제품 생산과정의 각 공정에서 수합된 데이터를 통해 조업을 시뮬레이션하거나 공정 간 생산공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다.  

   
▲ 세계 철강 수요 전망. /사진=포스코경영연구원 제공


[미디어펜=권가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