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임기 전반기에 여러차례 야당 인사들에게 입각을 제의한 바 있었다”고 밝히고, “이뿐만 아니라 더 비중 있는 통합의 정치에 대한 제의도 있었다. 하지만 협치에 공감하면서도 아무도 수락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0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청와대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신년기자회견에서 정세균 신임 총리가 밝혔던 ‘협치 내각’ 구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다음 총선 이후 야당 인사 가운데에서도 내각에 함께 할 만한 분이 있다면 함께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사실상 ‘협치 내각’ 구상을 공식화했다.

이어 “협치는 우리 정치에서 큰 과제이다. 삼권분립 침해를 고심하면서도 정세균 국무총리를 발탁하게 된 큰 이유도 정부와 국회 사이에서 협치를 마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컸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야당 인사의 입각 거절과 관련해 “지금 우리정치 풍토와 문화 속에서 그 분들이 당직을 버리지 말고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함께해도 좋다고 했다. 하지만 내각에 들어가면 자신의 집단에서는 배신자처럼 평가받는 것을 극복하기 어려웠던 것”이라며 “공개적으로 대통령이 진행하면 야당 분열 공작으로 공격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문 대통령은 협치 내각에 대해 “내각제에서 하는 연정과 다르기 때문에 정당별로 일률적으로 배당하는 것은 어렵다”며 “그러나 전체 국정 철학에 공감하지 않더라도 해당 부처의 목표에 공감할 수 있다면 함께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것은 대통령의 의지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누차 강조했듯이 손뼉을 치고 싶어도 한손으로 칠 수 없다”며 “3개월에 한번씩 분위기가 좋든 나쁘든 그냥 무조건 만나자는 식으로 여야정 상시적 국정 협의체에 있어서도 합의했는데 그 합의조차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정치권이 앞장서서 국민들의 분열을 조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말로는 민생경제가 어렵다면서 실제로는 정부가 성공하지 못하기를 바라는 듯하다. 국회와 정부가 힘을 합쳐서 국민통합의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분위기가 좋으면 만나고 안 좋으면 못 만난 것이 현실이었고, 상당 부분은 대통령에게도 책임이 있다. 송구스럽기 짝이 없다. 책임을 미루는 것은 아니다”라며 “새로운 국회가 구성되면 더 많이 소통하고 협치에 노력해서 우리 경제를 살려내겠다. 다음 총선을 통해서 그런 정치문화가 달라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