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성완 기자]호남을 기반으로 한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오는 17일 ‘민주통합당’이라는 당명으로 합당하기로 14일 합의했다.
박주선 바른미래당 대통합개혁위원장과 유성엽 대안신당 통합추진위원장, 박주현 평화당 통합추진특별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통합추진회의를 한 뒤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합의문에서 "통합당 지도부는 3당 현재 대표 3인의 공동대표제로 하고, 공동대표 중 연장자를 상임대표로 한다"면서 “통합당 대표 임기는 2월 28일 종료한다”고 밝혔다. 최고위원은 각 당에서 1명씩 추천하기로 했다.
|
 |
|
▲ 박주현 민주평화당 통합추진특별위원장(왼쪽부터), 박주선 바른미래당 대통합개혁위원장, 유성엽 대안신당 통합추진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3당 통합추진 논의를 마친 뒤 회관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에 따라 통합당의 ‘3인 지도체제’에는 최고 연장자인 손학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상임공동대표를 맡게 됐으며, 최경환 대안신당 대표와 정동영 평화당 대표가 각각 공동대표에 임명됐다.
또한 공동대표 임기 종료 즉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공동대표 임기 및 비대위 구성과 관련한 내용은 통합당 당헌 부칙으로 규정하기로 했다. 즉, 통합당은 비대위 체제로 4·15 총선을 치르게 된다.
3당은 이같은 합의 내용을 각 당 추인 후 확정하기로 했다.
현재 바른미래당 17석, 대안신당 7석, 평화당 4석의 의석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합당하면 28석의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안철수계 의원 7명이 바른미래당을 탈당하더라도 21석을 확보할 수 있다. 선거구 획정 등이 결정될 2월 임시국회에서 교섭단체로서 목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에 이은 '원내 3당'으로, 총선에서 '기호 3번'을 확보하게 된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