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지수가 2010년대 들어 1980년대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81~2018년의 기업가정신 지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지수가 1981년 183.6에서 2018년 90.1로 37년 새 절반 이상 하락했다고 3일 밝혔다.
|
|
|
▲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사옥 입구 /사진=미디어펜 |
기업가정신 지수는 △기업호감도, 기업가 직업선호 등 문화요인, △경제제도 수준 등 제도요인, △경제활동참가율, 공무원 시험 경쟁률 등 경제의지, △창업률, 대기업 비중 등 기업활동, △법의 지배지수, 국회 발의법안 건수 등 공공부분, 총 5개 부문 14개 항목을 조사해 종합한 결과다.
약 10년 단위로 기업가정신 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1981~1990년 기업가정신 지수는 158.6을 기록한 이후,1991~2000년 100.8, 2001~2010년 85.4, 2011~2018년 88.2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0년대 평균 기업가정신 지수(88.2)는 1980년대(158.6) 대비 약 44% 하락했다.
기업가정신 지수가 절반 이상으로 떨어진 데에는 기업활동과 공공부문 지수의 하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 비중은 1981년 약 7%에서 2018년에는 1%대로 하락했다.
반면, 인구 10만 명당 사업체 수는 조사가 시작된 1993년 약 352.7개에서 2018년 654.6개로 크게 증가했다. 사업체 수는 증가하지만 대기업 비중은 하락한다는 것은 기존 기업의 성장의지가 약화되었다는 방증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공공부문 지수중에서는 발의법안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이 기업가정신 지수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법안 발의 수는 11대 국회(1981~1985년) 491건에서 20대 국회(2016~2020년) 2만4014개(4월22일 기준)로 약 49배 증가했다. 국회는 경제활동 규칙을 정하고 변경할 권한과 책임이 있는데, 과도한 법안 발의로 인해 불필요한 규제가 다수 양산되어 기업가정신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1991~2000년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대폭 하락했는데, 이는 모든 구성요소의 악화에 기인한다. 경제의지 부문에서는 1991년 약 100대7을 기록한 공무원 경쟁률은 2000년 100대2 수준으로 급등했고, 공공부문에서는 발의법안 수가 제14대 국회(1992~1996년) 902개에서 제15대 국회(1996~2000년) 1951개로 2배 이상 상승했다.
기업활동 부문에서는 대기업 비중이 1990년 약 2.5%에서 2000년 약 1.1%로 하락했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직후인 1998년에는 기업가정신 지수가 76.7로 조사기간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하게 기업가정신 지수가 하락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한국의 대기업 비중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며 20대 국회의 발의법안 수는 2만4014개로 역대 최대인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업투자 및 창업률 하락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기업가정신의 하락은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규제완화를 통한 친기업적 경영환경 조성, 기업규제 법안의 신중한 발의, 기업가에 대한 인식 제고 등 기업가정신 제고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경제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절실하다”며 “미증유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 기업 등 모든 경제주체가 기업가정신 제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