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 권오현 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현 상임고문)이 “위험한 순간에서 과감하게 결정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층의의 결단,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 전 회장은 28일 사내방송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말하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질서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의사 결정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번 인터뷰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시제품을 생산한 1992년 8월 1일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당시 권 전 회장은 D램 개발팀장을 맡았다. 64메가 D램은 삼성전자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1등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초석이 됐다.
|
|
|
▲ 권오현 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이 사내 방송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
권 전 회장은 1990년대 반도체 기술을 주도했던 일본의 사례를 들면서 리더십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가 꼽은 일본 반도체의 몰락 배경은 ‘투자 시점의 결정’이다.
권 전 회장은 “거기(일본)는 ‘100% 경영전문인 시스템’이라 빠른 결정을 못했다. (업계가) 불황일 때 (전문경영인이) 투자하자는 말을 못했다”고 말했다.
이는 삼성전자 역시 빠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언제든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원로의 조언으로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재계에서는 삼성전자 ‘리더십’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으면 ‘미래 경쟁력 훼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권 전 회장은 새로운 환경에서 반도체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과제로 ‘리더십과 임직원들의 헌신적 노력’을 꼽았다.
그는 “얼마 전에 이재용 부회장이 시스템 반도체도 2030년에 1위를 달성해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며 “메모리(사업)는 지금보다 더 계속 잘해야 하고, 시스템 반도체도 많이 키워서 세계 1위가 되는 게 목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권 전 회장은 “과거의 경험에 비춰봐도 어려운 시기일수록 제일 중요한 건 강력한 리더십”이라며 “순간적으로 빨리빨리 결정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는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원활한 소통과 토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 경영인으로 삼성전자 반도에 사업을 이끌었던 그는 “(전문 경영인이)굉장한 적자, 불황인 상황에서 ‘몇조 투자하자’고 말하기 어렵다”며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 전 회장은 발전 속도가 빠르고 리스크가 높은 반도체 사업에서 삼성전자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게 된 배경으로 총수의 ‘헌신’을 언급했다.
그는 “이병철 선대 회장께서 (반도체 사업을)하겠다 선언했고,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건희 회장이 지속적인 투자를 했다”며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이) 이렇게 성공한 배경은 선대 회장과 이건희 회장의 헌신”이 결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
|
|
▲ 권오현 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
권 전 회장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문화 구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과거의 연장 선상에서 가는 게 아니라 새로운 모습과 목표를 공부해야 한한다는 것이다.
그는 “옛날에는 이렇게 해라, 무엇을 해라 하는 기준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기준점을 우리가 세팅해야 한다”며 “우리가 (기준점을) 세팅하려면 그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구축해야지 지금까지 성공해 왔으니 그대로 열심히 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건 다시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권 전 회장은 “새로운 시대는 굉장히 다이내믹하기 때문에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별로 없다”며 “이럴 때는 새로운 지식이나 지혜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지식에 접근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후배들에게 조언을 남겼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