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방역당국이 최근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지난 2∼3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대구교회 관련 집단감염 때 보다 더 큰 위기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8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서울·경기 수도권 지역에서, 특히 사랑제일교회에서의 코로나19 환자 발생 규모가 매우 크다"면서 "지금은 지난 2∼3월의 신천지 집단발생 당시보다 훨씬 더 큰 위기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이 순간 신속한 대응, '철저한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자칫 방역에 대한 협조가 늦어져서 감염위험에 노출된 분들, 의심 환자에 대한 진단검사가 늦어진다면 미국이나 유럽 각국의 비참한 '대유행'을 맞을 수 있다"면서 "지금은 그런 위기로 빠져들 수 있는 문턱에 서 있는 상황"이라고 힘줘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현재 수도권 상황이 신천지 관련 유행 때보다 위험하다고 보는 이유를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그는 우선 이번 유행이 인구 2500만 명이 밀집한 수도권에서 발생했고 동시에 확진자 중 감염병에 취약한 고령자가 많은 점을 위험 요인으로 손꼽았다.

앞서 신천지 유행 때는 감염병에 취약한 60대 이상이 13.5% 정도였으나, 지금은 사랑제일교회 관련 확진자만 보더라도 60대 이상이 약 38%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령 확진자가 많으면 중증환자 수가 증가하고 자칫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권 부본부장은 두 번째로 최근 수도권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전파력이 높은 'GH형'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GH형은 4월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한 바이러스다. 국내에서는 5월 초 이태원 클럽발(發) 유행부터 이 유형의 바이러스가 대부분 발견되는 추세다. GH형은 신천지 관련 유행에서 발견됐던 V형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평균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권 부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민의 위기심과 경각심이 누그러진 것을 세 번째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신천지 때와 달리 전 국민이 방역수칙을 아는 상황에서도 전파 위험을 높이는 행위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네 번째로는 수도권 내 집단 감염이 음식점, 대형시장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또 다른 시설로 이어지면서 확산하는 상황을 언급했다. 방역당국이 확진자의 접촉자를 한정할 수 없으면 역학조사를 통해 'n차 감염'의 고리를 끊어내는 것이 그만큼 어려워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권 부본부장은 수도권 내 감염이 광복절 대규모 집회 같은 모임과 수도권을 방문했던 타지역 주민들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아울러 권 부본부장은 구체적으로 "광화문 집회 참석자와 접촉자들에 대한 신속한 검사와 격리, 적절한 치료가 긴급하고 비수도권에서도 지역 위험도에 맞는 선제적이고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종교시설에 대해서는 "다른 시설이나 장소에서 수련회와 워크숍 등 숙박 행사를 자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