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연설서 "국난 동안에라도 정쟁 중단, 통합 정치 실천하자"
"바이러스는 사람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그 고통은 평등하지 않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7일 2차 재난지원금의 맞춤형 지급 방식에 대해 “고통을 더 크게 겪으시는 국민을 먼저 도와드려야 한다. 그것이 연대이고, 공정을 실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힌 뒤 “동시에 어느 국민도 부당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각지대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상이 그렇듯이, 재난도 약자를 먼저 공격한다. 재난의 고통은 약자에게 더 가혹하다”면서 “바이러스는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그 고통은 평등하지 않다”고 말했다.

   
▲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국회방송 캡처

이어 “고용취약계층, 소득취약계층은 생계가 위태롭다. 자영업자, 소상공인, 중소기업은 하루가 급하다”면서 “특히 음식점, 커피숍, 학원, 목욕탕, PC방 등 대면 비중이 큰 업종은 거리두기의 직격을 받았다. 아이를 키우시는 부모는 나날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4차 추가경정예산안을 거론하면서 “힘겨운 국민들께서 추석 이전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국회에 곧 제출될 추경안의 조속한 처리를 여야 의원님들께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추경 심의과정에서 의원님들의 합리적 의견을 기꺼이 수용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주당은 국민의 삶을 살피고 지키겠다”고 덧붙였다.

“산업화와 민주화를 위한 서로의 기여를 인정하고 미래를 함께 준비하자”

이와 함께 이 대표는 코로나19 국난 극복을 위해 사실상 중단된 여야정 정례 대화를 다시 시작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국난을 헤쳐나가는 동안에라도 정쟁을 중단하고 통합의 정치를 실천하자. 국민과 여야에 함께 이익되는 윈-윈-윈의 정치를 시작하자”면서 “코로나 위기 극복과 대한민국의 지향에 대한 최소한의 정치적 합의를 이루자”고 말했다.

이 대표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위한 서로의 기여를 인정하고 미래를 함께 준비하는 ‘21세기 새로운 전진을 향한 대합의’”라며 “대합의는 코로나 극복 공동노력, 포용적 복지, 디지털 전환, 기후위기 극복, 한반도 평화, 민주주의 완성 등을 담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야의 비슷한 정책을 이번 회기 안에 공동 입법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정책협치를 통해 정무협치로 확대해 갈 수 있다. 그렇게 할 것을 여야에 호소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원칙 있는 협치’와 관련해 “만약 ‘반대를 위한 반대’가 있다면 단호히 거부할 것”이라면서 “그렇지 않는 한, 대화로 풀지 못한 문제는 없다는 믿는다”고 말했다.

“개천절 집회, 국민 생명 위협하는 불법행동은 이유가 무엇이든 용납될 수 없다”

아울러 이 대표는 "대전환의 시대가 오고 있다"며 건강안전망, 사회안전망, 한국판 뉴딜과 신산업, 성 평등, 균형발전을 결단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여성 억압구조를 해체하고, 성범죄에 단호히 대처하겠다"며 "저희 당 소속 공직자의 잘못에 대해 피해자와 국민께 거듭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광화문 집회와 관련해서는 “방역의 공든 탑에 흠이 생겼다. 8·15 광화문 집회로 코로나19가 재확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천절에도 비슷한 집회를 열려는 세력이 있다"면서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불법행동은 이유가 무엇이든 용납될 수 없다. 법에 따라 응징하고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제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함께 잘사는 일류국가"라며 행복국가, 포용국가, 창업국가, 평화국가, 공헌국가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코로나 전쟁에서 승리하고, 국민의 삶을 지키겠다. 동시에 코로나 이후를 미리부터 충실히 준비하겠다"며 "안으로는 함께 행복한 나라, 밖으로는 평화를 이루며 인류에 공헌하는 나라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