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연평도 만행 관련, 김정은 통지문 두고 정치권 이견
[미디어펜=조성완 기자]정치권은 25일 북한의 연평도 만행과 관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단히 미안하다”고 통지문을 보낸 것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어떤 이유로도 비무장 민간인을 사살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면서 “우리당은 북한군의 행위에 대하여 규탄한다”고 밝혔다.

홍 원내대변인은 다만 “오늘 김 위원장이 통지문을 통해 민간인 피살사건과 관련해 우리 국민에게 사과의 뜻을 전달했다. 청와대는 앞서 북한에 진상규명과 사과, 재발방지를 요구했다”며 “이에 대한 즉각적인 답변과 김 위원장의 직접 사과는 이전과는 다른 경우여서 주목한다”고 강조했다.

   
▲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를 주재했다고 노동신문이 지난 5월 24일 전했다./평양 노동신문=뉴스1

그러면서 “북한에서는 통지문에 이어 우리 국민들이 신뢰할 수준까지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발표 등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단히 미안하다’라는 단 두 마디 이외에는 그 어디에서도 진정한 사과의 의미를 느낄 수 없는 통지문”이라고 비판했다.

윤희석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진정한 사과의 의미를 느낄 수 없었다”면서 “의미 없는 사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윤 대변인은 “오히려 우리의 보도를 일방적 억측이라며 유감을 표시했고, 자신들의 행동이 ‘해상 경계 근무 규정이 승인한 준칙’, ‘국가 비상 방역 규정’에 따른 정당한 행위임을 강조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국민이 목숨을 잃었는데도 ‘사소한 실수와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일’이라고 칭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려는 무책임한 태도만 보였다”면서 “이대로 끝나서는 절대로 안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책임 있는 후속조치의 확인은 물론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책에 대한 확답도 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대변인은 또 “우리 내부의 문제도 확인해야 한다. 북한의 통지문대로라면 그 어디에서도 우리 공무원이 월북을 시도했다는 정황을 찾을 수 없다” 군 당국의 설명을 요구했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