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검찰에서 자기 반성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김태년 "일부 특권 검사들의 개혁 저항도 노골화되고 있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더불어민주당은 2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이른바 ‘커밍아웃’ 발언 이후 일선 검사들의 반발이 ‘검란’으로 확대 조짐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 “아직도 특권의식을 버리지 못한 잘못된 개혁저항”이라고 비판했다.

이낙연 대표는 이날 최고위 회의에서 전 정부에서 검찰에 의해 무혐의 처분을 받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유죄 판결을 거론하면서 “검찰에서는 반성이나 자기비판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이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의 시급성을 강조하면서 “공수처 출범을 방해하는 행위가 있다면 두고 보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도 “검찰개혁이 8부 능선을 넘어가며 일부 특권 검사들의 개혁 저항도 노골화되고 있다”며 “법무부 장관이 법에 보장한 지휘 권한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 검사들이 저항할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이번 댓글은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 ‘검사와의 대화’를 떠올리게 한다”면서 “과거 참여정부 시절 정치검사들은 검찰의 과도한 권한남용을 제도적으로 견제하고자 했던 검찰개혁에 조직적으로 저항했었다”고 강조했다.

김종민 최고위원도 “이 전 대통령의 거짓말을 덮어주고 노 전 대통령은 벼랑으로 몰아붙였던 정치적 편향이 아직 계속되고 있다”며 “조국 전 법무장관의 가족과 친가·처가는 멸문 지경까지 몰아붙이고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몇 달씩 소환 수사도 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