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부실 우려… 선별적 지원 필요"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재연장하는 방안을 두고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이 당국의 요구를 수용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지난 4월부터 대출이자 상환을 유예해왔다. 당초 지난 9월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가 재확산됨에 따라 내년 3월까지 한 차례 더 연장했다.

이들 들어 코로나19 확산세가 더욱 거세지면서 금융당국은 내년 3월 이후에도 이자상환을 유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자상환 유예가 연장되지 않을 경우 한계 기업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져 금융권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1일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및 2021년 금융정책 방향' 간담회에서 "개인과 기업의 지급능력을 고려한 연착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실물경제의 건실한 회복을 뒷받침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은 이자 상환을 또 한 차례 유예하는 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자상환을 또 다시 유예할 경우 한계기업의 부실을 키울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당국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1월말 기준 전체 은행권의 이자 납입 유예 규모는 950억원(8358건)이다. 대출 금리를 2.5%라고 가정했을 때 기업이 은행에서 대출한 원금은 3조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은행들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부실 우려에 대비해 대손 충당금을 적립해왔지만, 부실을 충분히 감당할 수준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3분기까지 누적 충당금 규모는 약 1조6000억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에 매달 이자도 낼 형편이 안 되는 한계기업의 경우 부실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워 이자유예를 또 한차례 연장하는 것은 위험 부담을 더 키울 수 있다"면서 "한계기업을 제외한 기업을 중심으로 선별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