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디지털 전환은 일반적으로 기술혁신이 초래하는 생산성 제고 효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크다. 하지만 고용 감소, 업종내·업종간 양극화 등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어 디지털 전환에 대해 일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13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자본 확충을 통한 생산과 유통 효율성 개선, 네트워크 효과를 통한 기업간 경쟁 촉진 및 소비자 후생 증대 등으로 생산성 향상에 대채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독일, 영국 등 20개국의 2010년부터 2015년 중 금융업을 제외한 제조업을 포함한 총 22개 기업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특정 산업내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기업 비중이 10%포인트 늘어날 때 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을 1~2%포인트 정도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은 유무형 자본간 상호보완 관계를 강화하고 효율화해 생산성 개선을 촉진한다. 다만 디지털 기술 도입에 따른 생산성 개선 정도는 기술 도입 당시 기업의 생산성 수준과 기업 규모 등에 따라 상이하다.
또 기업간 경쟁을 촉진시켜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노동의 효율적 배분도 촉진한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빅테크 등 일부 플랫폼 기업이 온라인 사장을 장악할 경우 약탈적 가격책정을 통해 플랫폼 기반 생산자·유통업자에 손실을 입힐 가능성이 있고 시장구조도 왜곡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용 측면에서는 기술이 노동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실업이 대거 발생할 수 있다. 실제 향후 20년내에 미국 근로자의 절반(47%)이 고도의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를 위협받을 전망이 나온다.
디지털 혁신으로 생성되는 신규 일자리 부문에 기존 사업의 저·중숙련 노동자를 재배치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돼 기술이 노동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실업이 대거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성 제고는 시차를 두고 해당 기업의 생산량 확대를 통해 전후방 연관기업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재편되면서 신규시장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관측된다.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이 효율성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뿐 아니라 노동자 숙련도별, 기업 규모별 격차 심화하는 부정적 효과도 수반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보고서는 “노동의 경우 노동대체 효과가 일시적으로 크게 나타날 경우 일정 기간 생계지원뿐 아니라 새로운 기술이나 업종에 적용하도록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성 제고 효과가 종업원의 디지털 기술 역량, 기업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