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일부 관중을 수용하기로 했던 도쿄올림픽이 결국 무관중 형태로 열릴 전망이다.
9일 연합뉴스가 일본 현지 언론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저녁 관중 수용 문제를 재논의하는 올림픽 관련 5자 회의에 이어 관계 지자체와의 협의회를 잇따라 열었다. 전날 회의에서 정부는 도쿄도(都), 사이타마·가나가와·지바현(縣) 등 수도권 1도·3현에서 예정된 모든 경기를 무관중으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도쿄올림픽은 도쿄 등 수도권 4개 지역을 비롯한 9개 도도현(都道縣·광역자치단체)의 42개 경기장에서 열리는데, 대부분 경기장은 수도권 4개 지역에 밀집돼 있다.
|
 |
|
▲ 도쿄올림픽 5자회담. 사진 왼쪽부터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스크린), 하시모토 세이코 조직위 회장,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스크린), 마루카와 다마요 올림픽담당상 / 사진=로이터 |
이날 올림픽 관련 5자회의는 도쿄의 긴급사태 선포 결정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해 수도권 경기장의 무관중 운영 방침을 확정했다. 하지만 미야기, 후쿠시마, 이바라키, 시즈오카 현 등 4개 지역에선 수용 정원의 50% 범위에서 최대 1만 명까지 입장을 허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홋카이도는 구체적인 방침을 놓고 조정 중이다.
5자 회의에는 일본 측에서 마루카와 다마요(丸川珠代) 올림픽담당상,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조직위 회장,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 지사가 참여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선 이날 일본에 입국해 사흘간 자체 격리 중인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숙소인 호텔에서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앤드루 파슨스 IPC 위원장도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바흐 위원장은 "IOC는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대회를 위한 어떠한 결정도 지지한다"며 이날 합의를 지지했다.
일본 정부의 방침 선회를 두고 일각에서는 자국민들의 부정적 여론을 의식한 행보로 보고 있다. 당초 일본 정부는 지난 3월 IOC 등과 협의해 해외 관중을 받지 않기로 했다. 지난달 21일에는 경기장 당 정원의 50% 범위에서 최대 1만명까지 내국인에 한해 입장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12일 이후 긴급사태나 중점조치가 적용되면 무관중 개최로 열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개최지인 도쿄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면서 대부분의 경기가 무관중 개최로 결정됐다.
무관중 개최를 정치적 요인으로 해석하는 분석도 제기된다. 도쿄신문이 지난달 26~27일 도쿄도(都) 유권자 1007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에 따르면, 유관중 개최에 대해 코로나19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 79.8%가 '불안하다'고 했고, 12.2%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지난 4일 열린 도쿄도 의회 선거에선 집권 정파인 자민당이 제1당의 지위를 회복했다. 하지만 과반에 크게 못미치는 의석을 확보해 사실상 패배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도쿄에서 표출된 민심이 올가을 열릴 총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만큼, 일본 정부가 다수 여론이 원하는 무관중 개최로 선회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오는 12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6주 동안 도쿄 지역에 4번째 긴급사태를 발효하기로 했다. 도쿄올림픽은 이달 23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다음달 8일까지 열린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