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에선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오는 26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앞두고 한은 수뇌부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국은행 제공.


최근 가계부채 급증, 자산가격 상승 등에 따른 금융 불균형과 인플레이션 우려를 고려하면 당장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겠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면서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곧바로 은행의 대출이자도 연달아 상승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따른 취약계층 등의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23일 한은에 따르면 오는 26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금통위를 개최한다. 한은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이 본격화되면서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0.75%로 0.5%포인트 내렸다. 5월에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조정한 이후 현재까지 동결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인상 시점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금융시장에선 당장 이달부터 인상이 시작돼 내년 초까지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관측한다. 가계부채가 꺾이지 않는 데다가 최근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유동성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17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의 가파른 증가속도를 억제하기 위해 정부가 강도 높은 대출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증가세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40조2000억원으로 전월보다 9조7000억원 늘었다. 7월 증가액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대다. 물가상승률도 심상치 않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6%로 4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이며,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0%)를 초과했다.

이주열 총재도 "현재 수준에서 기준금리를 한두 차례 올려도 통화정책 기조는 여전히 완화적 수준"이라며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못 박았지만, 4차 대유행 거리두기 강화 조치로 인한 경기타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미 지난 1년 사이 대출금리가 1%포인트 가까이 오른 상황에서 당장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들의 대출금리 상승 속도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은행권의 대출 중단과 한도축소 등 추가대출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은 특히 자영업자를 포함한 취약계층에 큰 타격을 준다. 한은이 지난 6월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대출 금리 1% 포인트가 오르면 가계대출 이자는 총 11조 8000억원 증가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변동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80%를 넘어섰다"며 "이중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생활자금이나 사업자금을 대출로 막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추가 대출이 점차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어서 취약계층 등의 안전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 임기까지 금통위 회의는 오는 8월 26일, 10월 12일, 11월 25일로 올해 세 번을 남기고 있다. 내년엔 1월 15일, 2월 25일 두 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