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 수준인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지난해에는 0.81명으로 더 떨어졌다.
출생아 수는 26만명대로 더 줄었고,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늦어졌다.
23일 통계청 '2021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에 따르면, 작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은 0.81명으로, 전년(0.84명)보다 0.03명 감소했다.
지난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으로 0.08명 줄어든 것보다 감소 폭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세계적으로 손꼽히게 낮다.
2019년 기준 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61명으로, 한국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
|
|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합계출산율/자료=통계청 제공 |
한국은 OECD 38개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도, '부동의 꼴찌'다.
한국 합계출산율은 1984년 1.74명으로 처음 1명대로 내려간 뒤 2000년대 들어 1.1∼1.3명대로 떨어진 후 2018년 0.98명으로 1명 아래를 기록했고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으로 계속 내리막을 타고 있다.
올해는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하락할 전망된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세종(1.28명), 전남(1.02명), 강원(0.98명) 순으로 높았고 서울(0.63명), 부산(0.73명) 순으로 낮았다.
출생아 수는 26만 500명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년(27만 2300명)보다도 4.3%(1만 1800명) 줄어든 수치다.
작년 출생아 수는 1991년 70만 9000명의 3분의 1 수준, 56만명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내내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고 특히 12월(-13.0%)의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5.1명으로 전년보다 0.2명 감소, 1970년 이후 최저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주 출산연령인 30대 여성 인구가 적어지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혼인 건수가 줄어, 출생아 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21년 1∼12월 누적 혼인 건수는 19만 2500건으로, 코로나19 여파로 전년보다 9.8%(2만 1000건) 감소했다.
아기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는데, 2019년 현재 OECD 평균은 28.3세다.
평균 출산연령을 보면 첫째 애는 32.6세, 둘째 애는 34.1세, 셋째 애는 35.4세였다.
엄마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성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30∼34세)이 76.0명으로 가장 높고 30대 후반(35∼39세) 43.5명, 20대 후반(25∼29세) 27.5명, 40대 초반(40∼44세) 7.6명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