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연내 최대 연 2.0%까지 오를 듯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한국은행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대 이상으로 대폭 올려잡았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커진 상황이 반영된 결과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될 경우 국내 물가는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국은행 제공.


급격한 물가상승률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이 예고돼 있어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역시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장에선 올해 기준금리가 1.7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나, 그보다 높은 2.0%까지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10월(3.2%)대에 올라선 이후 11월(3.8%), 12월(3.7%), 올해 1월(3.6%) 등 4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는 등 고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 등에 따른 결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내외 불확실한 환경이 고조되면서 향후 국내 물가상승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실제 한은은 이 같은 국내외 정서를 반영해 전날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1%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한 2.0%에서 1.1%포인트나 올려 잡은 것이다. 한은이 3%대 물가 전망치를 내놓은 것은 지난 2012년 4월(3.2%) 이후 처음이다. 한은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7%에서 2.0%로 상향 조정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전날 기준금리 동결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회복 등으로 국제유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확대돼 물가 전망을 큰 폭으로 상향 조정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을 전제로 했다"고 밝혔다.

문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전면적으로 치달으면서 국내 물가는 더 급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양국이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국내 물가 상승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서방이 경제 제재 수위를 높일 경우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고, 국내 생산과 수출에도 차질을 빚을 우려가 크다.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한 가운데 물가 상방 요인이 커지면서 한은의 통화정책 완화 정도와 시기도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전날 기준금리를 현재 연 1.25% 수준으로 동결했다. 지난 연속 3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한 만큼, 금리인상에 따른 파급효과를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8월(0.5%→0.75%)과 11월(0.75%→1.0%), 1월(1.0%→1.25%)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시장에선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 만료 이후 신임 한은 총재가 취임한 뒤 2분기(4~6월)를 기점으로 기준금리 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일단 기준금리는 연내 1.7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되나, 그 보다 높은 2.0%까지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크다는 분석이다.

이 총재 역시 현재의 기준금리는 완화적 수준으로 향후 추가 인상을 예고해 왔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연 1.5%로 한 차례 올려도 긴축으로 볼 수 없다"며 "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완화 정도는 더 커졌다"고 말했다. 이는 앞으로 높은 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이어지고, 금융불균형을 줄여나갈 필요성이 여전하는 점을 고려하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하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물가가 치솟는 등 향후 물가상승세를 고려했을 때 물가안정이 최우선 목표인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연내 최고 2.0%의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