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이달 말 종료예정이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 및 원리금 상환유예조치가 오는 9월까지 6개월 추가 연장되는 가운데 청년층과 자영업자, 비은행권 대출의 잠재적 부실위험이 높아 금융지원 종료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가계대출 연체율이 금융지원·완화조치 연장 등에 힘입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대내외 여건 악화시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자영업자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일부 대면서비스업종의 매출회복 지연 등이 가중되면서 자영업자인 취약차주가 증가하고 원리금상환부담도 비교적 큰 상황이다.
취약 차주 가운데 자영업자 비중은 2019년 말 전체 차주 수 기준 10.6%%, 대출잔액 기준 10.6%로 집계됐으나, 지난해 말에는 각각 12.1%, 21.2%로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이들 차주의 연체율은 지난해말 4.4%로 대출 확대 및 금융지원조치에 힘입어 여타 취약차주(5.8%)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 정상화 과정에서 부실위험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잠재한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특히 취약차주의 대출 연체율은 비취약차주에 비해 대출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차주 연체율은 과거 금리하락기인 2019년 2분기부터 2020년 4분기에는 1.8%포인트 하락한 반면 금리상승기(2016년 4분기부터 2019년 4분기)에는 1.9%포인트 상승했다. 비취약차주의 경우 연체율 변동의 거의 없었다.
향후 금융지원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대출금리 상승에 대내외 충격까지 가중되면 현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수준이 낮은 취약 차주라도 상환부담이 증대돼 부실위험이 높아질 위험이 제기된다.
실제 취약차주 평균 DSR(2021년 3분기말 64.8%)을 크게 하회하는 취약차주의 경우 연체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신 DSR 수준이 높아질수록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잠재 취약차주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각종 지원조치 등에 힘입어 취약차주의 비중은 계속 하락하고 있으나, 당장 취약차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대내외 여건이 악화됐을 때 취약차주로 전락할 수 있는 잠재 취약차주의 비중은 지난해 말 16.8%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대출부실 증가시 취약차주 대출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건전성 저하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취약차주 대출중 비은행권 비중은 지난해 말 60.6%로 비취약차주(39.8%)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금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축은행, 여전사 등의 취약차주 연체율도 상승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은은 "앞으로 완화적 금융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이 악화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저하되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확대했던 청년층 및 자영업자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며 "비은행 등 금융기관은 대출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