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풍력발전 정산단가, kWh당 200원 돌파·태양광 200원 근접…올해 한전 적자 17조 상회 전망
[미디어펜=나광호 기자]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대 의사를 밝힌 가운데 발전공기업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6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EPSIS)에 따르면 지난달 연료원별 정산단가 총합은 킬로와트시(kWh)당 16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200원, 전년 동월 대비 800원 이상 오른 수치다.
연료원별로 보면 풍력발전은 206.1원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2012년 6월 193.0원이 가장 높은 수치였으나, 올해 2월부터 이미 이를 넘어선 데 이어 200원을 돌파한 것이다.
|
|
|
▲ 미국 LA 유니버셜스튜디오 내 설치된 태양광 패널(왼쪽)·댈러스 DFW 공항 인근 풍력발전기/사진=미디어펜 |
태양광발전(197.4원)도 다시금 200원대를 향해 움직이고 있으며, 연료전지도 2014년 6월 이후 처음으로 200원대로 재진입했다. 수력·해양·바이오발전 등 재생에너지로 분류된 다른 연료원들도 200원대로 형성됐다.
업계는 이들 발전의 정산단가가 2월을 기점으로 급등한 원인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계통한계가격(SMP)이 높아진 것을 꼽고 있다.
SMP는 전력량에 대해 시간대별로 적용되는 시장 가격으로, 한전은 이를 기준으로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구매한다.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을 토대로 SMP가 결정되는데 유럽발 가스 수급난으로 LNG가 급등, 다른 발전의 가격도 동반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LNG 정산단가는 2월 247.1원을 기록한 뒤 3~4월에도 200원을 상회하고 있다. 한전의 가스발전 구입액도 지난해 1~2월 3조2098억원에서 올 1~2월 6조3860억원으로 불어났다. 구입량이 줄었음에도 비용이 불어난 것이다.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대체에너지도 구입단가 급증(kWh당 81.6원→179.6원)의 영향으로 구입량이 3644GWh에서 4401GWh로 20.7% 증가하는 동안 구입액은 2973억원에서 8185억원으로 확대됐다.
|
|
|
▲ 포스코에너지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5·6호기/사진=포스코에너지 제공 |
업계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전기위원회 독립성·전문성을 강화하고, 한전도 전기요금 총괄원가 및 원가회수율 등을 산정한 뒤 산업부에 제출하는 등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있지만, 재무구조 악화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기준연료비와 기후환경요금 인상분을 적용한 데 이어 전기요금을 추가로 올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앞서 한전이 올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를 3원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으나, 정부가 유보 의견을 통보하기도 했다.
신재생에너지의무공급(RPS) 비율이 지난해 9.0%에서 올해 12.5%로 높아진 것도 악재로 언급된다. 한전이 지난해 RPS 정산을 위해 지출한 비용은 3조1905억원으로, 올해는 4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RPS 비율은 2026년 이후 25.0%까지 높아질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전의 올 1분기 적자만해도 5조원을 넘기는 등 올해 17조원 상당의 영업손실이 예상된다"면서 "한전도 상장사라는 점에서 무작정 전기요금 현실화를 외면할 수 없고, 이는 결국 민생과 산업경쟁력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