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진실성이 위협받으면서 향후 기업들의 새로운 위험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보험산업은 보험금 청구 등에 사진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어 보험사기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체 보험산업 연합 차원의 기술 개발을 추진해 대응해야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
|
|
▲ 사진=보험연구원 |
26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딥페이크(Deepfake)와 보험사기’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정보 보안에는 CIA(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가 요구되는데 최근 딥페이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CIA 중 진실성(Integrity)이 위협받고 있다.
딥페이크는 머신 러닝(machine-learning)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또는 조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영상 또는 이미지, 텍스트, 음성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딥페이크는 개인적·조직적·사회적으로 평판 및 금전적 손상을 초래하고, 의사결정 과정의 조작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피해의 심각성, 피해 규모, 피해 대상의 탄력성을 고려한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
특히 보험산업은 보험금 청구 프로세스에서 사진 등을 증거로 활용 중인데 기존의 위험 평가모델 및 손해사정시스템으로는 딥페이크를 활용한 보험사기에 대응이 어려워 가짜 콘텐츠로 인한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손민숙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사이버 위험에 대한 우려로 사이버보험에 대한 관심 및 판매가 증가할 수 있으나 눈앞에 보이는 ‘사실’이 더 이상 ‘진실’이 아니라는 것은 보험회사에도 동일하다”고 말했다.
딥페이크 사기로 과도한 금액이 청구되지 않는 한 일부 보험금 청구로 보험회사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문제는 이로 인해 기업의 평판 또는 브랜드의 가치가 손상되는 경우다.
상당한 수준의 법률 비용, 위기관리 비용, 손상된 시스템 복구 비용, 데이터 수정 비용 등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기업의 평판이 손상되는 경우 잠재적 수익의 감소 및 주가 하락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딥페이크 사기로 인해 발생한 손실이 보험료에 반영돼 보험계약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손 연구원은 “가짜 콘텐츠를 식별하고, 고객 인증을 강화하며, 지속적인 보안 테스트를 실시하는 등 적절한 대응 체제를 갖춰야 하나 투입 비용 대비 효용을 예측할 수 없어 시스템 마련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체 보험산업 연합 차원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으며, 딥페이크 관련 법안을 마련하고, 사회적으로 교육 및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향후 기술적, 법적, 사회적으로 광범위한 혼합 조치 및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