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에 여전채 금리 4%대로 올라
"장기 CP, ABS 늘려 자금조달 창구 다각화"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카드사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금리도 급등하면서 자금조달비용 부담 증가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금리도 급등하면서 카드사들의 자금조달 부담이 커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8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용등급 AA+인 여전채 3년물 금리는 이달 들어 4.366%로 올해 들어서만 2%포인트 넘게 뛰었다.

지난해 9월 중순까지만 해도 1%대에 머물던 여전채 금리는 올해 들어 가파르게 오르더니 지난 3월 2014년 6월 이후 7년 8개월 만에 3%를 돌파했다. 이후 지난달 7일에는 4%를 뚫더니 지난달 17일에는 4.517%를 찍기도 했다. 여전채 금리가 4%를 넘어선 것은 2012년 4월(4.02%) 이후 10년 2개월 만이다.

이에 지난달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가 발행한 여전채는 총 1조1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조6900억원) 대비 57.6% 줄어든 수치다. 전달인 5월(2조1900억원)과 비교해도 1조원 가량 줄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지난 13일 정례회의를 열고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25%로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한은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하면서 여전채 금리 상승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연말 기준금리가 연 3%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올해 금통위 회의는 8월, 10월, 11월까지 총 3차례 남아있다.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들은 가맹점 대금 지급과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70% 이상을 여전채를 발행하거나 차입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여전채 금리가 오르면 카드사가 자금조달 시 부담해야 할 비용이 늘어나는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카드론 금리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우량차주의 비중을 늘리면서 취약차주는 카드론조차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 유지비가 많이 들어가는 핵심 카드상품이 단종될 수도 있다.

이처럼 카드사들의 자금조달 수단이 여전채에 집중돼 있어 위험 분산을 위해 창구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카드사들도 장기 기업어음(CP) 등으로 눈을 돌리는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카드사들의 월별 CP 발행 규모는 1월 9000억원에서 2월 1조3800억원, 3월 2조7350억원, 4월 2조9850억원, 5월 2조5350억원으로 연초 이후 3배 넘게 증가했다. 1분기 카드사들의 만기 1년 이내 CP·전자단기사채 발행액은 38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2% 늘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접어들면서 여전채 급등으로 자금조달 부담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카드사들은 장기 CP,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을 늘리는 등 자금조달 창구를 다각화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