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불규칙한 배차간격과 부족한 노선개선, 운전기사 친절교육 강화 촉구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기도가 '공공형 버스'의 서비스 개선을 통해, 도민들의 지역 간 이동권을 제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 소외지역, 공공형 버스로 해결하자'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6월 3일부터 7월 8일까지 경기도 공공형 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승객 375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활용했다.

경기도 내 대중교통 소외지역에서 자가용 대체 교통수단으로 운행 중인 공공형 버스는 공영버스, 벽지 노선, 맞춤형 버스, 도시형·농촌형 버스의 4가지 종류가 있다.

   
▲ 경기 공공버스/사진=경기도 제공


조사 결과 공공형 버스 이용 연령층은 60대 이상이 35.7%로 가장 많고, 50대 18.7%, 20대 16.8% 등, 50대 이상 고령층이 54.4%를 차지했다.

승용차가 없는 주민들이 대중교통 소외지역에서 공공형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36.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편리성 30.9%, 저렴한 교통비용 28.8%, 정시성 양호 2.9% 순으로, 출·퇴근이나 등·하교용 보다는 개인적 업무와 여가 및 친교(53.6%) 등과 관련성이 높았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서비스 종합만족도' 평가 점수는 68.0점으로, '다소 미흡'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 평가 항목 중 차량 상태 만족도는 73.6점, 운전기사 친절도도 73.1점으로 비교적 양호하고, 운행 상태 서비스는 68.2점으로 평가됐다.

특히 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주민들의 48.0%는 배차 간격의 단축을, 25.9%는 배차 간격 준수를 요구했다. 

경기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지역 간 이동권' 보장을 위해 지속적인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며, 이용 수요가 많은 노선의 선별적 증차를 통한 운행 확대, '수요 응답형' 공공형 버스 서비스 도입 검토, 정기적인 버스 운수 종사자 친절 교육 등을 제언했다.

또 편하게 대기하면서 버스 도착 시간을 알 수 있는 정류소 및 정보안내 시설 확충, 여러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의 노선번호 및 행선지 표시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 전광 표지판 설치도 촉구했다.

송제룡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중교통 소외지역 유일 대중교통 수단인 공공형 버스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확대, 경기도민들의 지역 간 이동권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