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중심 포트폴리오에 부실채권비율 급등, 포용금융 유연화 시급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지난해 말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부실채권비율이 0.53%를 기록하며 2021년 대비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사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중·저신용자대출'을 늘리는 과정에서 금리상승이 겹친 까닭이다. 

23일 금융감독원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은행권의 부실채권비율은 0.40%로 2년 9개월만에 상승 전환했다. 특히 인터넷은행 3사의 평균 부실채권비율은 0.53%로 전년 9월 말 0.39% 대비 0.14%포인트(p) 상승했다. 1년 전 0.29%와 견주면 0.24%p 급등한 셈이다. 

   
▲ 지난해 말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부실채권비율이 0.53%를 기록하며 2021년 대비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사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중·저신용자대출'을 늘리는 과정에서 금리상승이 겹친 까닭이다./사진=각사 제공


은행별로 살펴보면, 총여신 1위인 카뱅이 0.36%로 전년 9월 말 0.29%보다 0.07%p 상승했다. 케뱅은 0.95%로 3개월 전 0.76% 대비 0.19%p 급등했는데 특수은행인 수출입은행을 제외하면 비교군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뱅은 0.23%에서 0.53%로 역시 0.30%p 급등해 절대 상승 규모로는 20개 은행 중 최대를 기록했다.

이들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시중은행이나 지방은행의 흐름과 확연히 차이난다. 금감원이 집계한 시중은행(신한·우리·SC·하나·씨티·KB국민)의 부실채권비율 평균은 지난해 말 0.22%로 9월 말 대비 0.0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오히려 1년 전인 2021년 말과 견주면 0.01%p 개선됐다. 

6대 지방은행(BNK부산·BNK경남·DGB대구·광주·JB전북·제주)의 평균은 0.43%로 9월 말 0.36% 대비 0.07%p 상승하는데 그쳤다. 

부실채권비율 증가 배경에는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따른 건전성 악화가 꼽힌다. 특히 포용금융을 늘리면서 연체율도 증가한 모습이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3사의 지난해 말 포용금융 비중은 카뱅 25.4% 케뱅 25.1% 토뱅 40.37%로 각각 집계됐다. 토뱅을 제외한 두 은행들은 모두 목표치(카뱅·케뱅 각자 25%, 토뱅 42%)를 달성했다. 지난해 1분기만 하더라도 포용금융 비중은 카뱅 19.9% 케뱅 20.2% 토뱅 31.4%에 불과했다. 

하지만 당국의 연이은 압박에 못이겨 하반기부터 급격하게 포용금융을 늘린 모습이다. 올해 3사의 연말 포용금융 목표치는 카뱅 30% 케뱅 32% 토뱅 44%다.

이처럼 인터넷은행은 개인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신용대출 중심의 포트폴리오 비중이 높은 탓에 부실비율과 연체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중은행이 담보대출 비중을 많이 둔 것과 대조적이다.

한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금리인상기에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면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통상적으로 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 부실율이 높은 편인데, 인터넷은행은 신용대출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담보대출을 제공 중인 카뱅과 케뱅은 올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수차례 인하하며 담보대출 비중을 늘리고 있다. 당국의 주문으로 인해 대출금리를 인하한 것도 배제할 수 없지만, 여신 포트폴리오 비중을 안전자산인 '담보대출' 위주로 확대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이다. 

3사는 총여신액 증가, 연체 및 부실채권 확대 등에 맞서 대손충당금 적립을 늘리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3사의 대손비용은 총 4952억원으로 1년 전 1000억원의 약 4.9배에 달했다. 국내 전체 은행의 대손비용이 4조 1000억원에서 6조 3000억원으로 불어난 것과 견주면 증가율이 훨씬 높다. 

특히 지난해 4분기 3사의 대손비용은 1641억원을 기록해 직전분기 1350억원 대비 21.6% 급증했다.   

한 관계자는 "작년에 여신자산이 꽤 증가했는데 당국 감독규정에 따라 여신자산이 증가할수록 대손충당금적립비율도 늘려야 한다"며 "은행마다 당국 권고치 이상으로 넉넉히 쌓아두는 곳이 있고 비율만큼 쌓는 곳이 있는데, 쌓는 은행일수록 대손비용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중은행 대비) 출범 초기이기도 하고 추후 부실이 안 될 경우 충당금은 수입으로 환입된다"며 "은행의 기초체력 및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려면 대손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