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감산 들어갔지만 효과는 아직
수요 회복이 우선 돼야…증권가 “내년은 돼야 반도체 호황 올 것”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감산에 들어갔지만, 메모리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이 멈추지 않고 있다. 

당초 증권가에서는 2분기에 저점을 찍고 하반기부터 업황 반등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왔지만, 내년은 돼야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감산에 들어갔지만, 메모리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11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D램과 낸드 가격은 각각 1분기보다 13~18%, 8~13%씩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3월에 공개한 예상치(D램 10~15%, 낸드 5~10%)보다 하락 폭이 각각 3%포인트 확대된 수치다. 

주요 업체들이 감산을 선언했지만, 보다 중요한 수요 회복이 더딘 탓이다.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시장을 진단하며 “2023년 서버, PC 및 모바일 등의 연간 출하량이 전년 대비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비우호적 수요 여건을 감안할 때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급환경 개선은 어려울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가격 하락이 국내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 대부분은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사의 2분기 역시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8.1% 감소한 2665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올해 2분기 3조2909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업계에서는 2분기에 저점을 찍고 업황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왔다. 감산을 통해 제품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이것이 재고 소진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본 것이다. 

그러나 메모리 감산이 수요 위축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당분간 업황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 올해까지는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내년은 돼야 반도체 호황기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SIA가 최근 공개한 ‘2023년 SIA 팩트북’에 따르면 내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6020억 달러다. SIA는 “반도체 수요의 대부분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의해 주도된다”면서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시장에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증권 업계 역시 내년은 돼야 삼성전자의 DS부문과 SK하이닉스의 실적이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사들은 삼성전자 DS 부문의 경우 내년에 10조에서 14조 원의 영업이익을, SK하이닉스는 4조 원 대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양사는 반도체 생산 축소를 진행하면서도, 미래를 위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수요가 늘어날 경우를 대비한 선제적인 조치다.

앞서 삼성전자는 1분기 4조6000억 원의 영업적자에도 9조8000억 원의 시설 투자를 단행했다. 또 R&D(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역량도 확대에도 몰두 중이다.

SK하이닉스 역시 전체 투자비는 줄이지만 경쟁력 유지를 위한 필수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DDR5, LPDDR5, HBM3 등 수요 성장을 주도할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를 지속해 수요 증가에 대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